•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록 민담의 유형 분포 분석을 통한 일제 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 고찰 (The Study of Character by Distribution Analysis of Contain Folk Tales in The Three Fairy Tale Collec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ver Period.)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12
37P 미리보기
수록 민담의 유형 분포 분석을 통한 일제 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의 성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5호 / 33 ~ 69페이지
    · 저자명 : 백민정

    초록

    일제강점기의 3대 전래동화집은 그전까지 구비문학으로만 존재했던 아동 대상의 민담류들이 처음으로 단행본으로 편찬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아울러 이들의 존재는 아동의 발견이라는 근대적 패러다임 속에서 관심을 모았던 아동문학을 구비문학의 전통과 연결고리를 만들었던 중대한 성과이기도 하다.
    본고는 일제강점기 3대 전래동화집인 『조선동화집』, 『조선동화대집』, 『조선전래동화집』의 수록동화를 최인학의 <한국민담유형표>에 맞추어 분류하고, 그 유형의 각 동화집별 분포도, 대단위별 분포도, 중단위 및 중하단위별분포도를 각각 표와 그래프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조선동화집』은 ‘동식물민담(48%) > 보통민담(36%) > 소화류(3%)’의 분포도를 보이고 형식담, 신화적 민담, 기타 유형에는 해당 설화가 없다. 즉, 세계적으로 동화류 가운데 가장 분포도가 높은 동식물민담이 이 책의 분포도에서 1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주된 목적은 조선 아동을 식민지 국민으로 기획하고 양성하기 위함이었으므로, 그 대상 독자를 철저히 조선의 아동으로 하였다. 따라서 동화가 갖고 있는 속성에 충실한 민담류를 최대한 선별한 결과, 동식물 민담류가 높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동화대집』에서는 ‘소화(42.17%) > 동식물민담(30.12%) > 보통민담(25.30%) > 신화적민담=기타(1.20%)’의 분포 순위를 보이고 있다. 즉 소화류가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자 심의린은 한글학자이자 교육자였다. 일제강점기라는 국가적 위기를 조선의 올바른 교육으로써 극복하고자 했던 사람이다. 그가 스스로 대상으로 지목한 독자가 ‘학동’이므로, 이들을 의식한 동화들이 자연스럽게 모인 책이 바로 『조선동화대집“이라 할 수 있다. 단, 아동 중에서도 배우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배움에 적합한 이야기가 좀더 치중된 것이 분포도에서 드러난다. 이 책에는 소화류 가운데에서도 ‘바보 이야기’나 ‘어른과 아이’에 대한 이야기의 비중이 높은데, 이들은 지혜를 교훈으로 하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인 것이 바로 이를 증명하고 있다.
    『조선전래동화집』은 ‘보통민담(57.33%) > 소화(24%) > 동식물민담(12%) > 형식담=신화적민담(2.67%) > 기타(1.33%)’의 분포 순위를 보이고 있다. 보통 민담이 절반을 넘는 분포도를 보이고 있다. 이 책은 ‘동화’라는 표제를 달고 아동을 대상으로 책을 편찬하고 있긴 하지만, 아직껏 민담과 동화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아동에게 부적절한 민담이 수록된 점이나 그 이전 설화집과 비슷한 편찬 방식을 보이고 있다는 점, 서문에서 동화와 민담을 동의어로 취급하고 있는 점은 분명 당시 민담과 동화의 개념 인식이 불분명하다는 점이 드러난다. 이는 저자 박영만이 독립운동가로서 자주정신에 입각한 민담의 수집과 편찬을 우선시한 결과 대상 독자로서의 아동을 크게 중시하지 않은 채로, 스스로나 주변 사람에게 어린 시절 들었던 이야기들을 모으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삼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 kind that only exist until the oral literature of folk tales for children who have their book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at it was the three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lonial Choson is significant. Greatest performances as well as the existence of these linkages among the literary tradition and made ​​children's literature raised the interest of the child found in the modern paradigm is. This paper, the three collections of traditional fairy tales in Colonial Choson Shipbuilding donghwajip, Choson Donghwajip, Choson Donghwadaijip, Choson Jeonlae Donghwajip, 'A Type Index of Korean Folktales' which is devised By Professor Inhak Cho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ts type, and each donghwajip distribution, large-scaledistri bution by each specific distribution, suspended above and the heavy load units through tables and graphs were investigated.
    The Chosundonghwajip, "Animal tales(48%) > Fairy tales (36%) > Anecdotes and Jokes(3%) > Formula Tales = Religious Tales = Additional text resources(0%)" of the distribution of ranks is showing. In other words, the world of the fairy tale kind distribution of the higher animal tales 1 ranking in the distribution of this book is occupied. The main purpose of this book is positive and Planning children in Chosun period colonized people to thoroughly because the target readers were the children of Korea. Folktales current properties that have the fairy tale faithful were selected as possible, it can be shown that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fauna folk tales current high.
    The Choson Donghwadaijip, "Anecdotes and Jokes(42.17%)> Animal tales(30.12%)> Fairy tales(25.30%)> Religious Tale = Additional text resources(1.20%)" of the distribution of ranks is showing. Ie, Anecdotes and Jokes the distribution of the highest in digestive flow. The author of this book, Shim Eui-rin was a Hangul scholar and educator. The proper education of Korea by the Japanese occupation a national crisis, people who want to overcome. He himself pointing to the target readers 'schoolchildren', so, naturally assimilate them conscious of gathered book Choson Donghwadaijip. However, because children learn children among the distributions reveals that the story is leaning more suitable for learning. This book in the midst of the digestive flow higher proportion of stories about 'silly story' or kids 'and adults' wisdom of the lessons he learned from the story that they are mostly just to prove it.
    Usually the Choson Jeonlae Donghwajip 'Fairy tales(57.33%) > Anecdotes and Jokes(24%)> Animal tales(12%)> Religious Tales(2.67%) > Additional text resources(1.33%) of the distribution of ranks is showing. Usually showing the distribution of fairy tales than half. This book is the compilation of a book for children who wear the 'fairy tale' title, but the concept of folk tales and fairy tales, yet it is mixed up with that is showing signs of the transitional Revealed containing inappropriate for children folktale or the compilation approach is similar to the previous collection book of tale showing that it treated as a synonym for fairy tales and folk tales from the preface and a clear awareness of the concept at the time of folk tales and fairy tales, it is unclear points. This is significant emphasis on children as the target audience, put a folktale of the collection and compilation of results, often in a spirit of independence activists as author did not hold, that the primary purpose for yourself or someone nearby heard stories childhood collecting subsisted is considered to have b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