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芥子園畵傳』 初集의 수용과 산수화 제작과의 관계 (Reception of the First Edition of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Relation with Landscape Painting)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7.09
42P 미리보기
조선 후기 『芥子園畵傳』 初集의 수용과 산수화 제작과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5권 / 295호 / 111 ~ 152페이지
    · 저자명 : 윤승희

    초록

    芥子園畵傳 初集(1679)은 金陵의 芥子園에서 餖版彩色套印으로 제작된 최초의 채색 산수화보이다. 이 화보는 다색 판화 기술을 청대로 계승시켰고, 중간계층의 서화 제작 욕구를 충족시키며 많은 사랑을받았다. 또한 동시대 조선과 일본에도 전해져 널리 향유되었다.
    현재 국내에는 60여 건 이상의 芥子園畵傳 중국 목판본과 석인본이 소장되어 있어 당시의 인기를짐작케 한다. 初集은 18세기 후반 이후의 번각본과 석인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763년 타계한 대흥사 승려 大愚의 장서인이 있는 고려대 소장본은 국내 소장 善本들의 제작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부 선본들은 표제를 ‘笠翁畵傳’으로 고쳐 썼고, 海南尹氏群書目錄에도 이 화보가 ‘李笠翁畵譜’ 로 표기되어 있다. 18세기 초중반에는 장기 보존을 위해 책을 보수하면서 당시 유명 문학가였던 개자원 주인 李漁의 이름을 표제에 내세웠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 선본들은 1800년 간행본보다도 판각 수준이 높아, 늦어도 18세기 중반 이전 제작되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관원, 실학자, 문인들의 문집에는 芥子園畵傳 관련 기록들이 남아 있어 이 화보의 유입과향유 정황을 가늠할 수 있다. 화보 제작 기술에 대한 실증적 고찰, 화보에 수록된 화법, 문인과 화가들이 화보를 활용하고 향유한 사실에 관한 기록들을 통해 당시 다방면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문인 관료들이 初集의 내용을 상세히 알고 일상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향유한 점은 주목된다. 아울러 조선 왕실에서 작성한 서목들을 통해 궁궐 내 주요 서화 수장처에도 다종다양한 芥子園畵傳 판본이 보관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화가들의 芥子園畵傳 初集 활용은 비교적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개인 취향과 제작 목적 등이 그림 선택에 주요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시기별 활용 양상을 살펴보면, 18세기에는 전체 권을 두루 참고하여 도상을 차용하고 卷五의 화면을 임모 또는 방하는 등 다채롭게 화보를 참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남종문인화풍이 화단을 풍미한 19세기에는 卷五를 주로 활용하면서 각자 선호하는 화풍을 접목하는 방식이 지배적이었다. 시기를 불문하고 卷五 중 원말사대가 그림의 방작이 특히 많이제작된 점은 당시 문인화풍의 발전과 정착에 初集이 기여한 바가 컸음을 대변한다.
    芥子園畵傳 初集은 실용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산수화 교본이었다. 그러나 국내 문헌 기록과 판본들을 통해 이 화보가 화단에서만이 아니라 학자, 승려, 사대부, 왕실에 의해서도 널리 향유된 중국 예술 서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first edition of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1679) is a multicolor woodblock printing through assembled blocks published at a mansion, Jieziyuzn or Mustard Seed Garden, in Jinling (present-day Nanjing). Its historical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s that the work contributed to pass down the printing technique to the next generation of the Qing dynasty (1644-1911), that its wide circulation enabled middle class artists to indulge their passion for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and that the book enjoyed a wide contemporary readership even in the Joseon Dynasty (1392-1897) and Edo period Japan (1603-1868).
    More than 60 surviving woodblock and lithographic printings in Korean collections give us an idea of the popularity the Manual of Painting must have won in the Joseon period.
    Among the extant are copies of the first edition, most being either post late-eighteenthcentury reprints or lithographs. One in the Korea University collection carries a seal marking the ownership of Buddhist monk Dae-u (1676-1763) from the Daeheung-sa temple, whose career and years help date other volumes in Korean collections too. Some have “Liweng Manual of Painting” as a cover title; and similarly the Manual is listed as “Li Liweng Manual of Painting” on Catalogue of books collected by the Yun family from Haenam. Perhaps, the reference to Li Yu (1610-1680), also known as Li Liweng who was a renowned Chinese writer and owner of the Mustard Seed Garden, was added no later than the early-to-mid eighteenth century when the books underwent repairs to improve long-term sustainability. The rare books seem to have been produced and brought into Korea before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judging from their superior qualities to those published in 1800.
    How the Manual of Painting made its way to and won the favor of Korea can be gleaned from written accounts by officials in Kyujanggak (Royal Library and Archives),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Confucian reform and pragmatism movement), and other educated elites.
    The writings show that a variety of approaches were taken toward the manual, including empirical analyses on the book production technique, examinations of the pictorial styles used in illustrations, and the employment and enjoyment of the manual by both literati and painter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scholar officials were keenly aware of contents in the first edition and valued it as a source of daily pleasure. The royal court also kept different editions of the Manual in multiple storage facilities within the palace, literary evidence suggests.
    The late Joseon artists used the first edition of the Manual in various ways, arguably depending on personal preference or purposes of production. During the eighteenth century, the whole volume has received thorough attention to draw on iconography or to make precise or creative copies of illustrations (especially in the fifth fascicle).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orthodox Southern School of painting prevailed among painters, however, it became dominant to focus on the illustrations in the fifth fascicle and to fuse them with preferred pictorial styles. It is regardless of age that creative copies after the reproduction of paintings by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late Yuan dynasty (1271-1368) in the fifth fascicle have been produced in a large number, which testifies to a huge contribution the first edition made to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what is called the literati painting in Joseon.
    The first edition of the Manual of Painting was designed to provide an illustrated manual on landscape painting, namely for a practical purpose. Examination of literary accounts and extant volumes in Korea, however, show that the manual was a Chinese book on art favored not only by artists but also by a wider range of social groups including scholars, monks, the gentry, and court memb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