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통신사 필담·창화집 후루노 바이호(古野梅峰)『藍島唱酬』연구 (Scholars into a Book Titled Ainosima Shosu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0.12
21P 미리보기
조선통신사 필담·창화집 후루노 바이호(古野梅峰)『藍島唱酬』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87호 / 317 ~ 337페이지
    · 저자명 : 박찬기

    초록

    1719년 8월 1일 아이노시마에 상륙한 조선 사절의 제술관 신유한을 비롯한 삼 서기와 후쿠오카 번의 유학자 후루노 바이호, 구시다 긴잔이 8월 4일부터 7일까지 조선 사절의 객관에서 한문 필담 창수의 교환(交驩)을 하였다. 그 중 후루노 바이호가 필사한 창수집이 『남도창수』인데, 이 창수집에는 45수의 한시문과 세 건의 필담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필담 창수의 모습은 조선통신사의 사행처 객관에서 대마번 기실의 중재로 행해진 것이기는 하나, 이것을 담당한 조선의 제술관 및 서기들에게 있어서, 임무 완수의 이면에는 대단한 고충의 일면도 감수해야만 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일본 학사들을 상대해야 하는 제술관 및 서기들의 책무를 감당하려는 상황 인식과 화운을 구하여 찾아오는 일반 서민을 포함한 일본 학사들의 필담・창화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인식의 차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도 제술관 및 서기의 임무를 완수하여 지속적인 선린 우호의 정신을 이어가려고 했던 모습은 주목할만한 점이 있다. 또 이러한 필담⸱창수의 교환(交驩) 모습은 한자 문화권이라는 공통의 학문적 인식을 공유할 수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고, 조선 후기 한일 양국의 교류사를 생각함에 있어서 하나의 특징적인 모습이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When the Chosun Diplomatic Delegation (Chosun Tongsinsa) stayed in Ainosima on August 4th, Mr. Huruno-baiho, coming from Hukuoka, visited the delegation. The visitors exchanged the gifts of poems and conversations in literary Chinese with Yu-han Sin, an official literateur, and a group of document clerks for the three envoys, including Baek Gang, Mong-rang Sung, Eun-doo Jang. These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were later scribed down by Huruno baiho into a book titled AINOSIMA SYOU SYU. A closer look at 45 Chinese poems in the book, which were composed and read aloud during the visit, reveals frequent references and allusions to Chinese classic scholars. Notably mentioned among these poems are Lin Bu, Li Bai, Li Fang, Du Fu, Wang Can, Duan Cheng Ji, Duan Ke Ji, Mu Hua, and others. What is the most fascinating among these is the reference and allusion to the Du Fu, because it provides a rare opportunity of glimpsing into how both Japanese and Cho-sun scholars perceived pioneer and its culture. In addition,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Cho-sun language and Kim saeng, a calligrapher of the Silla Dynasty, describ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