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 번역의 현황과 과제 -『한국주역대전』 집성을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Zhou-Yi (周易)Translations-Focused on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8.12
40P 미리보기
『주역』 번역의 현황과 과제 -『한국주역대전』 집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2권 / 127 ~ 166페이지
    · 저자명 : 이선경

    초록

    『주역』은 13경의 으뜸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관련된 고전문헌이 방대하다. 이글에서는 관련 번역서를 『주역』 원문을 직접 번역 및 해설한 경우, 『주역』 주해서인 한문고전을 번역한 경우, 『주역』 자체는 아니지만 역학고전을 번역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 개인번역과 기관번역으로 분류하고, 그 틀에서 한중문헌을 나누어 보았다. 개인 번역은 특정인이 한 문헌을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관번역은 개인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규모의 연구를 일정시간 내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의 『주역』 번역서는 대체로 개인에 의해 수행되었다. 1967년 처음 출간된 이래 점차 증가해 왔으나, 『주역』 주해서의 번역은 1990년대 전반에 이르러 비로소 출판되었으며, 한국역학연구의 중추적 문헌인 『주역전의』 번역서는 199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후 정주학적 시각의 주해서인 『주역전의』 이외 다양한 『주역』 주해서들이 점차 번역 출간되어 온 것은 우리 학계의 역학연구가 균형 잡힌 모양새로 성장해온 모습을 반영한다.
    기관번역의 대표적 사례로 2017년 출간된 『한국주역대전』 14권의 편찬과 번역을 들 수 있다. 그동안 한국의 『주역』 관련 고전은 그 방대한 양에도 불구하고, 중국문헌에 비해 현격히 번역서가 적었으나 이 책의 출판으로 그 양상을 달리하게 되었다. 이 출판물은 한국의 『주역』 주해문헌 58편을 집성해서 번역한 대작으로, 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번역사업의 기능과 효과를 잘 보여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앞으로 학술적으로 중요한 역학문헌 및 한국역학에 영향을 끼친 중국역학문헌을 먼저 번역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한국역학 문헌 발굴 및 번역이 필요하며, 일본의 주역관련문헌의 번역도 요청된다. 『주역』의 번역이 우리 사회의 문화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는 것 역시 번역자의 일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us of how Zhou-Yi(周易) and relevant classics have been translated, and also contemplates the future tasks in translating Zhou-Yi(周易). The classic literature of I Ching(易經), that is Zhou-Yi, is vast in scale, deserving to be called the best of the Chinese Thirteen Classic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ations of Zhou-Yi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translations and explications of the source text of Zhou-Yi; 2) translations of the Chinese commentaries on Zhou-Yi, and 3) translations of the Yi-Xue(易學) classics.
    In addition, the translations are divided , according to who carries out, into two kinds: individual translations 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The current Korean-into-Chinese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ramework. Individu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An individual translator can work deeply and precisely on a specific literary work.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The large-scale studies can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which is beyond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translator within a limited time frame. Current translations of Zhou-Yi were mainly conducted by individuals. The translations have gradually increased from 1967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 commentaries were published in the mid- 1990s an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ZhuanYi(周易傳義)』(A Commen tary by Mr. Chung(程) and Mr. Zhu(朱) on Zhou-Yi) began to be intensively published since the late 1990s. Other than ZhouYiZhuanYi, commentary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ChengZhuXue(程朱學, the studies led by Mr. Chung and Mr. Zhu), a variety of Zhou-Yi commentaries have increasingly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which means that the Yi-Xue research in Korea has made a steady, sound, and balanced growth.
    The leading example of the institutional translations is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done through compilation and translation. In the past In spite of an immense volume of the classics related to Zhou-Yi retained in Korea, the Korean translations were fewer than the Chinese Zhou-Yi literature. However, the publication of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has changed this situation.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 a the grand collection which combined 58 commentaries on Zhou-Yi- exemplifies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translation projects conducted by institutions.
    From now on, translating the Yi-Xue literature, which mainly comprises the Yi-Xue history, and translating the Chinese Yi-Xue(易學) literature exerting influence on the Korean need for Yi-Xue to take place. In addition, continuous efforts to discover and translate the Korean Yi-Xue literature with a deep interest in the Korean Yi-Xue studies are required. Furthermor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Japanese Zhou-Yi does not exist yet. If it expo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Korean academic culture in the academic culture of the three main East Asian nations (Korea, China, and Japan), attention should be put on translating the Japanese Zhou-Yi literature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