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삼 시집 『시인학교』 연구 -시적 자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Kim Jong-Sam Collection of Poems “Poets School” :Focusing on Poetic Self-Consciousnes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5
21P 미리보기
김종삼 시집 『시인학교』 연구 -시적 자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89호 / 33 ~ 53페이지
    · 저자명 : 정치훈

    초록

    김종삼 시세계의 전환은 ‘시적 자의식’을 통한 ‘시인’을 재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고에서는 먼저 김종삼의 ‘시적 자의식’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는 한편, 두 번째 시집 『시인학교』를 중심으로 ‘고독’을 통해 ‘시적 자의식’을 이끌어내며 ‘시인’을 재발견함으로써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힌다.
    김종삼 시에서 ‘시적 자의식’이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이유는 바로 첫 번째 개인시집 『십이음계』를 비롯한 초기시편을 살펴볼 때, ‘시’에 천착해나갔다고는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때 김종삼에게 있어 시란 전쟁으로 인한 내면의 ‘외로움’을 전봉래의 ‘미학적 죽음’을 경유하면서 표출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한다. 그에 따라 그의 시에서는 ‘음악’이라는 미학적 요소를 통해 불안한 내면세계를 봉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와는 달리 두 번째 개인시집 『시인학교』에서는 보다 ‘시’에 천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1971년 작품상을 수상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시인’이 된 것과 동시에 약 2년간 ‘짧은 공백기’ 이후 이루어진다. 즉, ‘시인’이 된 것과 동시에 건강 악화로 사실상 ‘시한부’를 선고받은 이후 ‘시’에 대한 사유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다.
    개인시집 『시인학교』는 개별 작품을 선별하고 배치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하나의 의미망이라 할 수 있으며 김종삼의 시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참조점이 된다. 시집에서는 시적 주체가 시적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태도를 찾아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백’을 드러낸다. 시적 주체가 대상과의 일정한 거리를 두는 태도는 ‘자발적 홀로 있음’을 자처하는 ‘고독’과 맞닿아 있다. 『시인학교』에서 나타나는 ‘고독’은 단지 외로움으로 귀결되는 것이 아닌 ‘홀로 있음’을 통해 ‘시적 주체’가 부각된다. 김종삼은 이를 기반으로 ‘시적 자의식’을 이끌어내며 “아주 먼곳에, 결코 도달할 수 없이 먼곳에” 있는 ‘시인의 영역’에 도달하고자 하는 전환을 이루어낸다.

    영어초록

    The transformation of Kim Jong-sam's poetic world is achieved by rediscovering the ‘poet’ through ‘poetic self-consciousness’.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the background of Kim Jong-sam's formation of ‘poetic self-consciousness’, while the second collection of poems ‘Poet School’ centered on ‘solitude’ draws ‘poetic self-consciousness’ and a transition is made by rediscovering ‘poet’.
    The reason that ‘poetic self-consciousness’ occupies an important element in Kim Jong-sam's poetry is that when looking at his early poems, including his first personal collection of poems, “Twelvenotes Scale”, it is difficult to see that he focused on ‘poetry’. At this time, for Kim Jong-sam, ‘poetry’ functions as a channel to express the inner ‘loneliness’ caused by the war through Jeon Bong-rae's ‘aesthetic death’. Accordingly, in his poems, the aesthetic element of ‘music’ is used to seal the unstable inner world.
    Contrary to this, in his second collection of personal poetry, “Poets School” he shows a more intensive focus on ‘poetry’. This change takes place after a ‘short hiatus’ for about two years at the same time as becoming an officially recognized ‘poet’ by winning the Best Picture Award in 1971. In other words, after becoming a ‘poet’ and being sentenced to a ‘dead limit’ due to deterioration in health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poetry’ takes place in earnest.
    His personal collection of poems, “Poets School”, can be said to be a network of meaning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arranging individual works, and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examining the poetic world of Kim Jong-sam. In the collection of poems, the poetic subject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oetic object, revealing the ‘emptiness’. The poetic subject's attitude of keep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bject is in contact with ‘solitude’, which claims to be ‘voluntary alone’. The ‘solitude’ that appears in “Poets School” does not just result in loneliness, but rather the ‘poetic subject’ is emphasized through ‘being alone’. Based on this, Kim Jong-sam induces a ‘poetic self-consciousness’ and achieves a transition to reach the ‘poets realm’ that is “very far away, never reach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