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河溍의 정치적 활동과 『台溪集』의 간행 양상 (A Trend in Political Activities of Ha Jin and Publication of 『Taegye-jip』)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9
31P 미리보기
河溍의 정치적 활동과 『台溪集』의 간행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1호 / 225 ~ 255페이지
    · 저자명 : 전병철

    초록

    조선 중기 경상우도 진주에서 출생한 台溪 河溍(1597-1658)은 일평생 혹독한 시련을 겪으며 살아간 학자였다. 그가 태어난 해에 정유재란이 일어나 강보에 싸여 피난을 다니는 동안 몇 차례 죽을 뻔한 위기에서 살아났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인해 남명학파가 정치적으로 몰락했을 당시 소과에 급제하여 출사를 위한 첫걸음을 떼었다. 1633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지만, 3년 뒤에 병자호란을 당해 국가의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병이 들어 고향으로 돌아와 만년을 보낼 때는 당시의 사회적ㆍ정치적 상황 속에서 남명학파를 존속하기 위해 고심하고 노력했다.
    이처럼 하진은 개인적으로나 국가적으로나 매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일생을 살아갔는데, 그 삶의 고뇌와 지향이 그의 문집인 『台溪集』에 오롯이 담겨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 연구에서는 『태계집』의 간행 과정과 판본에 대한 고찰이 자세하게 다뤄지지 않아 명확하게 파악되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태계집』이 몇 차례나 간행되었으며, 각 판본의 구성 내용과 특징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태계집』의 간행이 네 차례나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밝혔다. 初刊本 2권 2책은 1683년 4월에 진주 응석사에서 간행되었다. 再刊本은 본집 2권 2책, 속집 2권 1책, 연보 1책으로 구성했는데, 본집은 1734년 12월에 진주 응석영당에서 초간본을 복각한 것으로 추정되며, 속집과 연보는 1824년 진주 청운암에서 중간했다. 三刊本은 1841년에 화재로 인해 이전의 목판이 소실되어 1848년 6월에 진주 경운재에서 완전히 새롭게 판각했다. 四刊本은 1894년에 東學의 피해를 입어 1899년 봄 산청 여사촌의 종약소에 간역청을 설치하여 1900년 5월 24일에 중간을 마쳤다.
    許愈가 告成文에서 사간본이 가지는 판본적 의미를 ‘정밀함’이라고 밝혔듯이, 4종의 판본 중에서 사간본이 가장 완정된 형태를 지닌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작자의 행적과 작품의 내용을 고찰하여 시 작품을 창작 시기순으로 열거하고 있는 점도 작품의 내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므로 수록된 시문에 대한 분석은 사간본을 대상으로 삼아 살펴보았는데, 남명학파의 일반적인 성향과 달리 하진은 총 392제 554수라는 비교적 많은 수량의 시 작품을 남겼다. 또한 당시풍의 문학적 취향이 두드러진 감상적 서정시와 서경시를 많이 지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잡체시도 상당수 창작했다.
    상소문에서는 하진의 충직과 절의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태계집』의 서발문을 지은 작자들과 하진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에서 공통적으로 칭송하는 내용은 죽음을 무릅쓰고 올린 상소문의 강직한 언론에 대한 것이다. 『태계집』에는 성리학에 관한 논설이 보이지 않는데, 이런 측면은 남명학파의 특성과 일치하는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하진이 1633년 4월 문과에 급제하여 처음 벼슬에 나아갔을 때, 남명 사상의 핵심이 담겨 있는 「신명사도명」을 계승하여 「신명사기」를 저술한 사실은 그 의미가 심장하다.
    『태계집』의 간행 의미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계집』을 통해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 학자들이 당시의 정치적 타격을 극복하고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살펴볼 수 있다. 둘째, 17세기 중기에 활동한 관리로서 하진은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어떻게 인식했으며, 극복하기 위한 실천 방안으로 무엇을 제시했는가를 고찰할 수 있다. 셋째, 『태계집』에 수록된 작품들에 근거해 하진의 문학적 성취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남명학파 내에서도 문학 방면에 뛰어난 성과를 이룬 인물들이 있었고 그들에 대한 발굴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환기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aegye Ha Jin who was born in Jinju, Gyeongsangwu-do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a scholar with turbulent test of time all through his life. In the year of his birth, Jeongyu-jaeran was broken out and his family was constantly on the run as he was still an infant and he had a number of crisis where he could easily been killed. At the time of political collapse of the Nammyeong Scholars with the Injo-banjeong in 1623, he passed a national examination for minor division to take the first step toward the government services. In 1633, he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major division to begin his government service but the Byeongja-horan (invasion of Qing Dynasty in the year of Byeongja) was broken out in 3 years to encounter the national crisis. Upon his return to his hometown while he was ill in his waning years, he contemplated and endeavored for revitalizing the Nammyeong school under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s such, under the extremely harsh situation personally and nationally, Ha Jin lived his life and the agony and striving point of his life was fully contained and expressed in his literature collection, 『Taegye-jip』.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do not handle in details on the publication process of 『Taegye-jip』 and contemplation on its print blocks that it is not clearly manifested. Therefore,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to contemplate on the number of publication for 『Taegye-jip』 and what would be the contents of printing block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Under this research, it has reveal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four publications of 『Taegye-jip』. The 2-volume and 2-book for the first edition were published by Jinju Engseok-sa in April 1683. The second edition is comprised with the main collection with 2-volume and 2-book, its following edition with 2-volume and 1-book, and annual cover in 1-book, and the main collection was presumably published with its initial edition copy at Jinju Engseokyoungdang in December 1734, and the ensuing collection and annual cover were published from Jinju Cheonwun-am in 1824. The third edition had the previous wooden blocks burned off from a fire in 1841 that it was completely renewed from Jinju Gyeongwunjae in June 1848. The fourth edition was damaged from Donghak in 1894 and finished with the intermediary publishing on May 24, 1900 by establishing publication office in Jongyakso in Sancheon Yeosachon in the spring of 1899.
    Looking at the contents of poems and literature listed in the fourth edition from the 4 sets of publication copies, Ha Jin left a relatively substantial volume for a total of 392-je and 554-su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tendency of the Nammyeong Scholars. In addition, he wrote many sentimental poems and scenic poems with conspicuous literature preference of the poetry style of Tang Dynasty and he also came up a significant number of various japchesi (雜體詩 – poems with various literature styles). In writings to the king, it was clearly demonstrated for loyalty, integrity and honor of Ha Jin. The contents commonly praising for authors that wrote the introduction part of 『Taegye-jip』 and eulogy for the death of Ha Jin would be on his uncompromising integrity shown on his statement to the king without fearing of possible death. 『Taegye-jip』 does not show the discourse on the Neo-Confucianism and this is consisten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myeong Scholars. In this context, Ha Jin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in April 1633 to start his first government career and he wrote 「Sinmyungsagi」 as succeeding 「Sinmyungsadomyung」 that contained the core aspect of the Nammyung ideology, showing profound implications.
    By summarizing the contents discussed up to this point, the implication for the publication of 『Taegye-jip』 could be stated as follows. First, through 『Taegye-jip』, it demonstrates what type of effort the Nammyeong Scholars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political collapse of the time and seek for ways of revitalization after the Injo-banjeong. Second, it is possible to contemplate what had Ha Jin perceived of the national crisis in Byungja-horan and what had he planned to overcome such a situation as a government official working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And third,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literature accomplishment of Ha Jin based on the works listed on 『Taegye-jip』, and through the effort, it reminds the fact that there were personnel in the Nammyeong Scholars that achieved outstanding accomplishments in the literature field and it is prudent to take on the discovery and research on them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