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A Study of the Compilation of Selected Poems, Cheonggusicho and Its Meaningin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4권 / 74호 / 329 ~ 356페이지
    · 저자명 : 구지현, 최재원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인에 의해 간행된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 배경과 그 특이성을 통해 한문학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1931년 김태준은 우리나라 한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체계화한 『朝鮮漢文學史』의 상대편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청구시초』를 상당 부분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청구시초』가 발간된 계기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개최된 ‘始政五年紀念 朝鮮物産共進會’였다. 공진회는 조선총독부의 5년간 新政 체제가 이뤄낸 실적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는 데 목적이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조선을 동화시키고자 하였다.
    『청구시초』가 이러한 공진회를 계기로 만들어지기는 하였으나, 전시된 물품은 아니었으므로 정책상의 목적과 차별되는 점들을 찾아볼 수 있다. 단순히 조선의 활자로 찍은 책을 ‘同好’에게 나누어주기 위해 책을 간행했다고 서문에 밝혔으니, 조선의 물산을 내보이려는 목적보다는 소수의 일본인이 즐기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점들로 미루어볼 때, 왜 『청구시초』가 『조선한문학사』에 수용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의아하지 않을 수 없다.
    시선집에 실린 시는 단군조선부터 고려까지 총 176수로 구성되어 있다. 130여 수 이상이 『동문선 』과 일치한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시들이 시체의 구분 없이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1인당 한 수의 시가 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이전의 시선집과는 다른 지점이다. 특히, 시가의 범주를 느슨하게 설정함으로써 역사서를 수용하는 동시에 한역시의 시대를 고증하여 시대순으로 정돈・배열하면서 조선 시의 기원을 기존보다 앞선 시대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한문학사』의 서론에 의하면, 이는 본래 우리말로 되어 있던 것을 한역한 것이므로 한문학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시들이다.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으로 분류될 수밖에 없는 것들이다. 그러나 김태준이 『조선한문학사』를 저술하던 당시 교감본 『삼국유사』가 보급되어 주목받았으며, 향가나 신화, 설화에 대한 문학적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조선문학사에 한문 문학을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을 때이다. 그러므로 상대편의 첫 장을 고대 한문학이 아닌 ‘고대문학의 감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다.
    요컨대 『청구시초』는 일본인 호사가들의 조선 취미를 위해 인쇄된 시선집이지만, 문학 개념이 변화되어 가는 시기에 김태준이라는 학자에게 주목받아 고대문학의 기원을 넓히는 하나의 단서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background and process in the compilation of selected poems, Cheonggusicho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and its meaning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ecause Kim, Taejun made a diachronic stud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history to describe ancient parts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by using a lot of Cheonggusicho.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Fifth Anniversary of New Politics’ hel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provided an occasion to publish Cheonggusicho. It was hel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and to make Joseon merged as a colony of Japa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to commemorate the fifth year of Japanese rule of Joseon, it was not a local product. It seems that its aim was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due to the words in the preface, “to give the books printed by the typographic culture of Joseon to the ‘persons interested in the same subject’”. It is doubtful why Cheonggusicho was taken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Cheonggusicho consists of 176 poems stemmed from Gojoseon, the first Korean kingdom, to the Goryeo dynasty. Over 130 poems in it were recorded on Dongmunseon. The poems representing each historical era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with a poem a poet. It is different from other anthologies. So the origin of Joseon poetry dates back to the earlier era.
    According to the preface of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it does not belong to Chinese Literature because it is the translated Chinese character version of native Korean words. At that time when Kim, Taejun wrote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Samgukyusa(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began to spread and the literary approach to Hyangga(old Korean folk songs), Korean myths and folktales emerged in the academy. That Chinese Literature in Korea should belong to Joseon Chinese Literature History was under discussion.
    In conclusion, though Cheonggusicho was published for some Japanese to enjoy Korean folk culture, it is a clue to spread the origin of old Korean literature by Kim, Taejun at that time when the concept of literature began to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