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산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과 작가의식 (Yosan Kim Jeong-han's his novel "The Red of the Setting Sun" and writer's ceremon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1.12
37P 미리보기
요산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과 작가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38호 / 253 ~ 289페이지
    · 저자명 : 오현석

    초록

    본 논문은 요산 김정한의 첫 소설집인 『낙일홍』(세기출판사, 1956)을 중심으로 작품 수록과 배제의 맥락을 분석하고 앞서 발표되었던 판본들과 낙일홍본을 비교하여 1950년대 당시 작가 의식을 읽어내고자 했다. 김정한은 『낙일홍』을 발간했던 1950년대 개인적, 사회적으로 아주 혹독한 시기를 겪었다. 해방기 뚜렷한 좌익 활동과 보도연맹 가입 경력이 1950년대 전쟁기에 그를 위험에 몰아넣었다. 이처럼 죽음의 순간이 이르기도 했던 그가 1956년 『낙일홍』을 발간한 이유를 단순히 그간의 작품들을 추슬러 정리하고자 했던 것으로만 볼 수는 없다.
    작가가 작품 발표 이후 다시 수정하거나 개작하는 경우에 작가의 의식 변화나 당대 변화한 시대의식을 작품에 반영하기도 한다. 김정한은 1950년대 중반 개인적으로는 집안의 가장으로서 가족의 생존을 책임져야 했고, 사회적으로는 부산대에 출강하면서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다해야 했다. 그 이면에는 해방기 그의 삶의 행적에 대한 해명이나 이념의 순결함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1950년대 김정한의 삶과 『낙일홍』의 발간 사이에는 유의미한 접점이 존재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작가가 작품집을 만들면서 의도했던 바를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했다. 첫 번째는 작품집에 수록, 배제된 작품들의 선택과 배제 논리를 분석했고, 두 번째는 판본 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낙일홍』에 수록된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김정한은 과거 자신의 좌익 활동으로 인한 사상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가치관을 작품집에 담고자 했다. 이는 자기검열을 통해 수록과 배제의 논리가 소설집 작품들에 숨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작가가 1950년대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 고민했던 흔적을 『낙일홍』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작가는 일제강점기를 10여년 지난 시점에서 일제강점기 당시 발표했던 작품들이 1950년대 당대에도 생명성을 지닐 수 있도록 『낙일홍』 수록 작품들을 수정 및 편집을 했다. 여성 등장인물의 주체적 삶을 응원했고, 전쟁 이후 인간의 생존과 죽음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으며, 궁핍하고 소외된 이들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었다. 즉, 김정한의 소설집 『낙일홍』은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가장으로서의 삶과 자신의 생존이 걸린 문제를 타파하고, 사회적으로는 전쟁기를 거치면서 변화한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하여 작품에 생명성을 불어넣는 방식으로 발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read the author's consciousness at the tim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mong previously published editions of works, focusing on “The Red of the Setting Sun” published by Segi Publishing Co., Ltd., the first novel by Yosan Kim Jeong-han in 1956. Kim Jeong-han went through a very severe period personally and socially in the 1950s when he published “The Red of the Setting Sun”. Since liberation in 1945, he has been clearly left-winged and his career as a member of the National Guidance Alliance incident put him at risk during the war in the 1950s. The reason why he published “The Red of the Setting Sun” in 1956, when the moment of death was early, would not be just for the production of a collection of works.
    The novelist's work may remain the same as it first appeared, but if it is revised or adapted through the artist's hand again after the presentation, it may reflect the change of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the mid-1950s, Kim Jeong-han was personally responsible for the survival of his family as the head of the family, and socially, he had to fulfill his role as an educator while attend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this regard, there is a significant point of contact between Kim Jeong-han's life in the 1950s and the publication of “The Red of the Setting Sun”. Planning the publication of a novel, selecting works, and modifying works did not simply mean releasing a single book.
    Therefore, in this paper, what he intended to make a workbook was analyzed focusing on changes by e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orks contained in “The Red of the Setting Sun”, Kim Jeong-han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ideology caused by his left-wing activities in the past.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novels contained through self-censorship. It also reveals awareness of human survival and death after the war, and interest in the needy and margin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