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禪門綱要集』에 나타난 臨濟三句 考察 (A viewpoint of Lin-chi hree-phrase[臨濟三句] in 『SEONMUNGANGYOJIP(禪門綱要集)』)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8.08
48P 미리보기
『禪門綱要集』에 나타난 臨濟三句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0호 / 45 ~ 92페이지
    · 저자명 : 하미경

    초록

    임제는 佛은 心淸淨이고, 法은 心光明이며, 道는 처처에 無碍한 光이라고 말한다. 나아가서 이 셋은 곧 하나이고 다 공이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제일구에서 깨달으면 불조의 스승이 될 것이고, 제이구에서 깨달으면 인천의 스승이 될 것이며, 제삼구에서 깨달으면 자신의 구제도 이루지 못한다고 말한다. 제일구는 ‘삼요의 인을 여는 것은 주점을 기울인 것이고, 의의를 용납하지 않으려는 마음은 이미 주와 빈을 나눈 것이다.’ 제이구란 ‘문수보살이 어찌 무착의 물음을 용납하리요마는 방편이 세상의 번민을 절단하고자 하는 것을 등한히 할 수는 없다. 제삼구는 ’무대에서 꼭두각시 노는 것을 잘 보아라 그 안에 사람이 있어서 잡아당기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삼구의 전체적인 관계성에 대해서 임제는 ‘일구어에는 반드시 삼현문을 갖추고, 일현문에는 반드시 삼요를 갖추며, 권이 있고 용이 있다.’고 말한다. 이와 같은 임제의 견해에 대하여 수산성념은 임제의 삼구와 삼현과 삼요를 모두 동등한 개념으로 정리하는 것과는 그 궤를 달리하고 있다. 곧 수산 성념은 단지 일현을 터득했다고 해서 삼구를 모두 터득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에 통했다고 한다면 모든 것에 통하는 것으로 비로소 삼구를 터득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기 되기 때문이다. 곧 부분에만 통하고 전체에 통하지 못하면 전혀 통하지 못하는 것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선문강요집}에서 中精法海는 蘊摠三句를 들어 삼구를 포함한 삼구의 사례를 설명하였고, 또 숭제혜도 현과 요 외에 따로 삼구를 송하고 있다는 견해를 피력하여 수산성념과 같은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호월상인과 청풍장로의 문답형식을 통한 내용의 전개에서 보면 세 가지 측면으로 전개되어 있다.
    첫째 [삼성장]에서는 각범혜홍의 말을 인용하고 그에 대하여 풍법사는 임제의 삼구야말로 모든 미혹한 자의 번뇌를 단번에 쳐부수는 금강과 같은 무기로 해석하고 있다. [이현화]에서는 삼구와 삼현과 삼요의 관계에 대하여 임제의 제일구는 四照用과 三要 각각의 관계에 대하여 평가한 것으로 각기 개별적인 것이면서 동시에 서로 통체적인 것이라 말한다. 특히 숭제혜의 견해를 들어 임제의 삼구가 일구에 통하고 일구가 삼구에 통한다는 것을 말하고 그것은 임제가 비유한 人의 사상에 대한 근원적인 원리를 제시해 주고 있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人이란 삼승인 내지 일승이라는 구별이 없이 모두 보편적인 人으로 간주되는 임제의 인간관의 특징을 나타내 주고 있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있다.
    나아가서 [일우설]에서는 일우가 앞의 [삼성장]과 [이현화]에 대해서 평하고 있다. 곧 [삼성장]은 조리가 정연하고, [이현화]는 분별이 상세하다는 것이다. 그 가운데 제이구에 대해서 ‘묘희는 곧 지혜이니 실제이다. 이 가운데 어찌 무착의 물음을 용납하겠는가. 물음과 대답이 모두 잦아들었기 때문이다. 구화는 방편이며 권이다. 이때에 어찌 흐름을 끊는 기틀을 저버리겠는가. 기틀과 감응이 함께 있기 때문에 이 두 구절은 삼현을 밝힌 것이다.’고 설명한다. 이것은 일우가 제일구 자체를 완성체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이고, 둘째는 제일구 제이구 제삼구를 각각 다른 하나의 독립체로 볼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제일구 그 자체로서 모든 것을 완전히 구비한 총체적인 것으로 보는 시각을 취한다. 그리고 제이구는 일구를 설명하는 방편의 시설이고, 제삼구는 삼구만으로 자체의 법(自法)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삼구 이외에 또 다른 삼구가 있다는 입장에서 모든 것을 총합한다는 온총삼구가 총체적인 것으로 보편성을 확보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three-phrase of Linchi-Ihsuan are (1) ultimate reality beyond words and letters, (2) concrete expression of the ultimate reality beyond words and letters, (3) provisional expression of the ultimate reality beyond words and letters. And Linchi-Ihsuan said that the relation of The three-phrase are One with expedient of teachings for enlightenment.
    Here, the 『SEONMUNGANGYOJIP(禪門綱要集)』, was not unknown the author and dynasty, classification three chapters. Namely, Samsungjang「三聖章」, Ihyunhwa「二賢話」 and Ilwooseol「一愚說」. Samsung means Soosansungnyum[首山省念], Joongjung- buphae[中精法海] and Soongjehye[崇齊惠]. Ihyunhwa means Chungpoongbupsa[淸風法師] and Soongjehye[崇齊惠]. Ilwooseol means Ilwoo[一愚].
    This three chapters explained about the three - profound idea[三玄] and the three-gist[三要]. That is the teaching methods by Linchi-Ihsuan. Namely, the three-profound idea are words (1) real, (2) free, and (3) wondrous. the three-gist are words (1) beyond discrimination, (2)identical with enlightened, and (3) beyond ordinary words. When all is said and done, Lin-chi Three-phrase, the three-profound idea and the three - gist are in harmony with gener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