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동반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Youth Companions’ Counseling Experiences with Adolescents Under Proba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4.07
32P 미리보기
청소년동반자의 보호관찰청소년 상담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족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29권 / 2호 / 139 ~ 170페이지
    · 저자명 : 배대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한 청소년동반자의 상담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보호관찰청소년상담을 포함한 청소년상담 현장에서 보완해야 하는 개입이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개입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1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약 5개월에 걸쳐 심층 면담한 자료를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한 청소년동반자의 상담경험은 7개의 상위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상위주제는 ‘양가감정을 바라봄’이며 그 하위주제는 ‘불안, 동정심이 공존함’, ‘나의 선택은’이었다. 두 번째 상위주제는 ‘혼자서 수용함’이며 그 하위주제는 ‘변하지 않는 상황’, ‘설명과 설득은 나의 몫’이었다. 세 번째 상위주제는 ‘새로움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거치다’이며 그 하위주제는 ‘계속함’, ‘그들의 시간에 적응하기’, ‘사소한 변화를 알아차리기 시작함’이었다. 네 번째 상위주제는 ‘적응과 변화의 싹을 키우는 즐거움’이었으며 그 하위주제는 ‘우리들만의 약속이 생김’, ‘조금씩 나를 받아주는 아이들’, ‘그들의 이야기로 하나 되기’이다. 다섯 번째 상위주제는 ‘이겨내는 힘이 생김’이며 그 하위주제는 ‘맞춰지지 않는 퍼즐같은 현실’, ‘평범함을 발견하고 반성함’, ‘힘듦은 동병상련으로 이겨냄’이었다. 여섯 번째 상위주제는 ‘내가 가야 할 방향은’이며 그 하위주제는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 ‘더 많이 준비함’이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상위주제는 ‘희망의 디딤돌이 되어 나아감’이며 그 하위주제는 ‘믿을만한 어른이 되어감’, ‘만남, 그 자체가 나의 성장’, ‘동반자가 되어가다’로 나타났다. 결론: 보호관찰청소년에 대한 청소년동반자의 상담경험은 결코 작거나 가벼운 것이 아니며 상담 그 자체가 힘겨루기와도 같았다. 청소년동반자들은 그 힘겨루기를 자신의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며 그들을 위한 괜찮은 어른으로 버팀목이 되어주는 청소년동반자로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동반자들이 활동하며 겪을 수 있는 다양한 경험에 대한 대처능력 향상과 이를 토대로 하여 보호관찰청소년 뿐만 아니라 고위기청소년에 대한 상담개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 depth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youth companions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hrough this, we sought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on what interventions need to be supplemented in youth counseling fields, including counseling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what methods should be used to intervene. Metho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1 research participants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5 months from December 2022 to April 2023 were analyzed by apply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7 superordinate themes and 18 sub-themes were derived from youth companion's counseling experiences with adolescents under probation. The first superordinate theme was ‘looking at ambivalence’ and the sub-themes were ‘anxiety and sympathy coexist’ and ‘my choice’. The second superordinate theme was ‘accepting on my own’ and the sub-themes were ‘unchanging situation’ and ‘explanation and persuasion are my responsibility’. The third superordinate theme was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something new’, and the sub-themes were ‘continuing’, ‘adapting to their time’, and ‘starting to notice small changes’. The fourth superordinate theme was ‘the joy of nurturing the buds of adaptation and change’, and the sub-themes were ‘we have a promise just for us’, ‘the adolescents accepting me little by little’, and ‘got united through their stories’. The fifth superordinate theme was ‘Gaining the strength to overcome,’ and the sub-themes were ‘reality like a puzzle that doesn’t fit together,’ ‘discovering and reflecting on the ordinary,’ and ‘overcoming hardships through mutual help’. The sixth superordinate theme was ‘the direction I need to go’ and the sub-themes are ‘difficulties to overcome’, and ‘preparing more’. Lastly, the seventh superordinate theme was ‘becoming a stepping stone of hope and moving forward’, and the sub-themes were ‘becoming a trustworthy adult’, ‘meeting itself is my growth’, and ‘becoming a companion’.
    Conclusions: The counseling experience of youth companions for adolescents under probation who experience such diverse situations and emotions is by no means small or light, and is itself akin to a struggle of power. Youth companions accept the struggle as a part of their lives, adapt to the special environment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counseling, and live as youth companions who serve as decent adults and support for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mproves the ability of youth companions to cope with the various experiences they may experience while working and, based on this, suggests a direction for counseling intervention not only for youth on probation but also for youth in advanced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가족관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