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3.09
27P 미리보기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3권 / 17호 / 595 ~ 621페이지
    · 저자명 : 김범수, 박윤서, 변가나, 안리경, 김대권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과 관련된 개별 연구물에서 하브루타 수업 경험의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범주화하고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일반화된 상황모형을 창안해 성공적인 하브루타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방법 질적 메타분석을 위해 먼저 체계적 절차를 통해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개별 사례연구물을 검토하여 최종34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물을 질적 메타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 및 해석하여 교사와 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내재된 핵심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고, 핵심 속성 간의 공통 특징에 따라 속성을 범주화하여 하브루타 수업 경험을 도식화한 상황모형을 창안하였다.
    결과 학생은 하브루타 수업에 대해 재미있고 부담이 적다는 긍정적인 수업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하브루타 수업을 통해 높은 적극성과 학습 동기의 바람직한 수업 태도를 함양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능력, 표현력, 대인관계 능력, 창의력, 사고력, 메타인지 능력의역량을 증진하였다. 반면 하브루타 수업이 시끄럽고, 시간이 부족하며, 낯설고 어렵다는 부정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학생들은 잡담에 대한 통제나 질문 만들기 교육이 추가로 필요하며, 토론 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다양한 조 편성과개인 성향 고려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교사는 하브루타 수업을 통해 수업 인식, 수업 태도, 학습 결과, 역량 향상의측면에서 학생의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동시에 학습자 수준과 관계, 태도에 따른 어려움도 경험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운영과 전문성 영역에서 어려움과 한계를 느끼고 환경적 제약을 경험하였다.
    결론 하브루타 수업은 학생의 다양한 역량 증진에 기여하였다. 둘째, 학생은 하브루타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가져왔다. 셋째, 하브루타 수업 경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어려움’이 가장 두드러졌다. 넷째,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이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적 진행을 방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실 있고 성공적인 하브루타 수업을 위해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변화, 하브루타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 운영, 학습 공동체 활성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a meta-synthesis approach. The objectives include identifying and extracting their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veloping a situation model to understand its dynamics. By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that contribute to effectiv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selecting 34 studies to analyze the Havruta experiences.
    The features of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were extracted from each study and categorized based on their thematic similarities and relationships. A situation model of Havruta learning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present the synthesized data.
    Results The analysis of the Havruta learning experiences identifi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reported by students.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categories: awareness of learning, learning attitudes, learning outcomes, an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Students positively acknowledge that Havruta learning is enjoyable and less burdensome, and fosters activ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ey also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including communication, speech,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On the downside, students perceive Havruta learning as noisy and unfamiliar, expressing the need for extended discussion time, more comprehensive guidance on formulating questions, and improved control of interactions. Diverse grouping methods and personalized approaches are also proposed. Additionally, teachers’ Havruta experienc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teachers, students, and environment. Teachers notice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competencies and learning outcomes. However, challenges arising from student diversity and classroom limitations are acknowledged, along with the intricacies of manag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own expertise.
    Conclusions First, Havruta learning has been found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diverse competencies among students. Second, the analysis underscores the affirmative impact of Havruta learning on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learning. Third, ‘difficulties’ was identified as a primary concern among negative aspects of Havruta learning. Lastly, existing educational paradigm impeded the full potential of Havruta learning. To ensure successful Havruta learning, a transformative shift in educational culture and the cultivation of suppor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impe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