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 들뢰즈의 영토화 이론에 의한 프레임의 재해석 (A Reanalysis on Frame by Gilles Deleuze’s Terriorialisa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1.12
10P 미리보기
질 들뢰즈의 영토화 이론에 의한 프레임의 재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12권 / 29호 / 25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찬수, 김광일

    초록

    '보다’라는 동사는 두 가지 단어로 표현될 수 있다. 시각(視覺)과 시각(視角)이다. 아마도 보는 것에 대하여 이 두 단어의 순서를 굳이 정하자면 첫 번째가 시각(視覺)이고 두 번째가 시각(視角)일 것이다. 이것은 어떤 사물을 바라볼 때 빛과 시선에 의하여 시각(視覺)적 반응이 생기고 그 뒤를 이어 그 사물에 대하여 판단하고 생각하는 시각(視角)적 자세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자연적 현상에 의한 단순히 ‘무엇을 보다’라는 의미와 보는 주체의 인위적 현상에 의한 ‘봄으로서 무엇을 생각하다’라는 의미의 차이다. 그리고 이 차이에 의하여 ‘창조’가 생산된다. 창조라는 사유(思惟)적 프레임에 의해 기계적 프레임의 시각 정보가 생산되는 것이다. 질 들뢰즈에 의하면 빛, 시선, 창조, 프레임 등은 모두 기계이다. 이 기계는 또 다른 기계와의 접속을 통하여 의미가 형성된다. 빛이라는 기계와 시선이라는 기계가 서로 접속하여 ‘보다’라는 시각(視覺)적 반응과 함께 의미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배치라는 물리적 프레임을 통하여 시각(視角)적 영토화를 이루게 된다. 보이는 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 또는 어떻게 보여 줄 것인가에 대하여 문제를 제시하게 된다. 이 문제의 해결이시각적 탈영토화로 가는 것이다. 시각적 탈영토화는 창조라는 탈주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시각적 영토화가 되기 위해서는 사유적이고 물리적인 프레임이 필요하다. 그리고 탈영토화로 가기 위해서는 창조에 의한 프레임이 필요하고 재영토화는 코드에 의한 이미지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See’can be expressed by two words- viewpoint and visual. Maybe, if the two words are set in train about ‘see’, the first is vision and the second is view. When one looks at an object, a visual response takes place by light and attention at first and a viewpoint attitude to judge and think is formed next. Vision means ‘see something’ simply by natural phenomena and view means ‘think about something by seeing’ by artificial phenomena of a subject who sees. And ‘creation’ is produced by the difference. It means that the visible information of mechanical frame is produced by the thinking frame of ‘creation.’ According to Gilles Deleuze’s mention, all of light, attention and frame are machines. This machine creates meaning through each machine’s access. The machine of light and the machine of attention create the visual meaning of ‘see’ by accessing to each other, which creates viewpoint territorialisation through the physical frame of arrangement. A problem is presented about how one will see what is seen or how one will show what is seen. How one solves the problem through any frame is to access to viewpoint deterritorialisation. Viewpoint deterritoria lisation is made by fuite of creation. To be deterritorialisation, a thinking and mechanical frame is required. And to be deterritorialisation, a frame by creation is required and, to access to re-territorialisation, an image by code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러스트레이션 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