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별활동 연구에서 질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In Search of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Approach in the Extracurriculum Researc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7.12
32P 미리보기
특별활동 연구에서 질적 접근의 가능성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과정연구 / 25권 / 4호 / 105 ~ 136페이지
    · 저자명 : 강현석, 유제순

    초록

    현행 교육과정의 한 축을 담당하는 특별활동은 지금까지 교과와의 상호 보완적 관련 속에서 학교
    현장 개선에 많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특별활동에 대한 연구는 특별활동의 고
    유한 성격을 반영하면서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정 대상의 연구 활동이 그러하듯이 다
    양하게 접근되는 만큼 대상에 대한 탐구와 이해는 타당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간 특별
    활동 연구의 경향은 몇 가지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제 그 문제와 한계가 밝혀지고 있으며, 그
    접근과 연구시각도 다양하게 변화해야 할 시점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특별활동 연구에
    대한 질적 접근에 초점을 두고 그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이 과정에서 특별활동 연구의 독특성으로
    인한 질적 접근과의 관련성과 그 가능성 및 활용방안을 제안해보고 있다. 이제 현장의 문제를 단순하
    게 기술하는 선을 넘어서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측면에서 특별활동의 문제를 조명하고 학생의 교육
    적 성장을 견인하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탐구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지난 특별활동에 대한
    연구 경향을 반성하고 특별활동 본래의 목적을 찾아 현장에서 겉돌지 않는 연구를 진척시키기 위한
    필수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discussion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one of the curriculum framework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At a glance, we may find the problem of the
    research on extracurriculum. The research on extracurriculum can be expected to play a
    much larger role in the educational world in the future. The extracurriculum should not
    be addressed in a trivial way in educational research. Furthermore the approach to the
    extracurriculum should overcome the biased conception and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possibility of qualitative approach in the
    extracurriculum research.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and trends of
    extracurriculum research. We have discussed the problem which lean to one-sided in the
    extracurriculum research. The problem we have founded are as follows; a approach poor
    in logic and consciousness, heavy bias to the management, lean to the simple frequency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and research findings irrelevant to field, and meager
    quantitative approach.
    Now the orientation of the extracurriculum research should be re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meaning making, student life and school culture. These research bases are
    actively exemplifi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qualitative research gives many
    method and information to the extracurriculum researcher. The no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extracurriculum have overwhelmed the practice of teacher thinking in the
    situa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So, the biased conception of the extracurriculum
    research often brings about many problems in the extra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o we need to search the extracurriculum as thoughtful researcher on
    the basis of qualitative appro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