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물 서사 비교를 통해서 본 유연 옥사와 <유연전>의 간극 ― 진⋅가 판별과 창작 의도를 겸하여 ― (The Difference between Youyeon Jail Experience Story and through the Comparison of Character Narration - adding to distinguish truth or false and to assume purpose for writi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1.07
30P 미리보기
인물 서사 비교를 통해서 본 유연 옥사와 &lt;유연전&gt;의 간극 ― 진⋅가 판별과 창작 의도를 겸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68호 / 209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용기

    초록

    이 글은 유연 사건에 대한 상반된 기록을 하고 있는 『조선왕조실록』』의 두 기록을 일차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수용한 조선 중후기 문집들의 수용 태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작가 이항복이 <유연전>에서 이들의 기록들을 모두 수용하면서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 창작 의도를 고찰하였다.
    논의 결과 이항복은 <유연전>의 복잡한 서사를 통해 세 가지를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첫째는 사람이 남의 말을 듣고 시비를 분별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벼슬아치들에게 공정하고 신중한 재판을 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자 한 것이다. 셋째는 유유를 통해 인간의 도리를 지켜야 한다는 창작 의식이다.
    이런 세 가지 창작 의도를 드러내고자 했기 때문에 실록의 두 가지 유연 옥사 기록과 <유연전>의 인물 서사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작가는 이러한 서사적 거리를 효율적인 결구 방식을 통해 완성도가 높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 결과 자연스럽게 사필귀정, 권선징악과 같은 주제 의식도 함께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는 <유연전>의 진⋅가(眞假) 모티프에는 무시할 수 없는 또 다른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보았다. 그것은 바로 진⋅가를 판별하는 근거를 제시하는 중에 드러나는 ‘나를 지킴’, 즉 ‘수오(守吾)’에 대한 문제다. 이 작품에서 진짜와 가짜를 증명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신체, 얼굴,목소리’와 같은 외형적 근거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형제와 향족들, 그리고 종들의 주장이나 판정도 수용되지 않았다. 이 작품에서 말하는 진⋅가는, 어떤 시비에서도 ‘나를 잃지 말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나’가 ‘나다움’을 잃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나의 진⋅가를 판별해 준다는 의식이 담겨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cument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wo contrary records about the affair of Youyeon. It was the receptive attitude that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collection of books of the mid- to late Joseon period. The writing purpose of Lee-hangbok was considered. He accepted these records and revealed concretely.
    On the basis of results, we could find out three things through the complicated narration of <Youyeonjeon>. First, people should listen to others and distinguish the right and the wrong. Second, he tried to give a lesson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have to judge fairly and carefully. Third, he reveals the creative conciousness that we have protect human rights through Youyou.
    The characteristic narration of <Youyeonjeon> and two records about Youyeon’s jail experience story are very different because he reveals these three purposes for writing. The writer could overcome the narrative distance and he raised degree of completion using construction methods. As a result,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at the truth wins in the long run was revealed.
    Lastly, there is a hidden intention in the true or false motif of <Youyeonjeon> and it is quite important. The point of keeping oneself, ‘Suo’ reveals in the process of judging the truth or false. The physical side like body, face or voice was not conceded as a resonable evidence. Brother, relative, or servant’s opinion could not be accepted. The truth or flase emphasizing on this work is to focus on keeping oneself in a quarrel. It is the ability not to lose being myself and it has a consciousness that can distinguish truth or fal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