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에서 새로이 만들어진 마을신앙의 기능과 속성-흑석동의 서달산 산신제를 사례로- (A study on the variation phase of a village ritual’s function in urban area-focusing on Mt. Seodal ritual in Heukseok-dong, Seoul-)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9.05
30P 미리보기
도시에서 새로이 만들어진 마을신앙의 기능과 속성-흑석동의 서달산 산신제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49권 / 183 ~ 212페이지
    · 저자명 : 김종대

    초록

    본 논의는 도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마을신앙의 변모양상을 살핀 글이다. 다만 이 논의가 흑석동이라는 한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과거 전통사회에서 전승되던 마을신앙과 다른 양상으로 전승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향후 도시 내에서 마을신앙이 어떤 방식으로 전승될 것인가의 한 흐름을 엿본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서달산 산신제는 제의명칭은 전통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실상 제의 내용은 완전히 다른 모습을 갖추고 있다. 특히 도시의 일반적인 행사장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의식절차가 더 강조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다면 산신제라는 제의는 마치 격식을 갖추기 위해서 마련된 듯한 느낌이 강하다. 이처럼 도시에서 전승되는 마을신앙의 모습이 전통적인 신앙과 다른 내용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농촌에 비해서 보다 활발한 전승을 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현재의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흑석동에서는 일제침략기에 산신제가 전승되고 있었다. 다만 이 제의는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승이 단절되었는데, 1977년에 들어와 달마조기회라는 동호회가 주동이 되어 서달산 산신제를 만들어 전승시키고 있다. 그러나 서달산 산신제는 실제로 일제침략기에 전승되던 산신제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다. 제의과정이나 제의 속성, 그리고 제의 목적 등까지도 서로 상관을 맺지 않고 있다.
    서달산 산신제는 과거의 마을신앙적 목적과 달리 오히려 정치적인 영향력을 강화시키는 방편으로 전개되고 있다. 제의일시를 의도적으로 일요일에 거행하여 동호회 회원들 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국회의원이나 시구의원, 그리고 구청장 등 정치인들의 참여를 유도한다. 특히 회비를 낸 사람의 명단을 공개하여 암묵적인 정치세력임을 알리고자 한다. 이외에도 제의과정에서 지역의 사찰에서 승려가 참여하여 독경을 해주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독경을 하는 것과 산신제를 지내는 사람들과 서로 상관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즉 제의의 일관성도 약화되어 있다고 하겠다.
    전통적인 신앙체와 다른 다양한 요소들로 새로운 산신제가 도시에 전승되는 이유가 과연 무엇인가 하는 점을 이제 논의되어야 한다. 즉 도시 내에서의 사람들이 이런 모임을 통해서 지향하는 점은 무엇이며 왜 이런 형태로의 신앙들이 전승되는가 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논의는 농촌지역의 마을신앙이 점차 약화되고 현상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도시 내에서 새롭게 생성되고 있는 민속문화적인 흐름의 변모양상을 이제는 조명해야 할 시점에 도달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core of the village belief consist of the solidarity among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ir collective belief and enhancement of cooperation related to their occupation. However, these characterize merely traditional local community where village people followed their traditional way of life. Most of village rituals in farming area are facing the danger of disappearance due to decrease of population in farming area as well as avoidance among young generation. On the contrast, it is noteworthy that the village ritual has been revitalized in urban area these days.
    Previous articles on village rituals in urban area focused on ritual process itself to be compared with the past form. It is also meaningful study, but I could find the actual intention in these articles that they were following the past form as a concrete model case and looking at the changes of a ritual purpose.
    People in Heukseok-dong were still carried out their village ritual for the mountain god of Mt. Seodal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owaday, its function has been changed from its traditional one. It is not easy to find regional belief system within this ritual.
    First of all,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not from same hometown and they involved in different occupation. The only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participants is the fact that they workout in same place which is located in Mt. Seodal. In light of this, practicing mountain god ritual has more intention for the maintain their social friendship among the participants. The ritual does not follow traditional ritual procedure strictly. For example, the ritual composed of both traditional process as well as modern national courtesy. In addition, the selection process for an officiant is not clarified.
    Another characteristic for this transmitting group is that they have more political influence. Similar cases can be found in other region in Seoul. However, it is very distinctive characteristic in Heukseok-dong. In particular, they introduce the guests and announce the list of donors who contribute financially to the ritual. It practically informs the size of this ritual to the public,
    To sum up, Mt. Seodal ritual in Heukseok-dong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village ritual transmitted in urban area, It is not transmitted as of traditional way yet, new focus which reflects urban community’s intention.
    Division of urban and agricultural area by natural environment no longer makes sense these days. Mt. Seodal ritual is a good example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urban collective ritual in this period. Moreover, it is noteworthy because other village rituals in urban area would turn into similar situation. To analyze this phenomenon, extensive case studies need to be examined and I would like to expand my study scope on this matter consta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