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지조서(地誌調書)」에 나타난 함경남도 장진군(長津郡) 지명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A Study on the place names of Jangjin-gun, Hamgyeongnam-do on “Jiji-joseo(Geographical Survey Documents of Korea)”)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4.06
45P 미리보기
「지지조서(地誌調書)」에 나타난 함경남도 장진군(長津郡) 지명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40권 / 30 ~ 74페이지
    · 저자명 : 미즈노슌페이

    초록

    본 연구는 「지지조서」에 수록된 함경남도 장진군 지명에서 고유어 요소를 추출하여 추출된 고유어 요소 중에서 함경남도 특유의 고유어 요소를 살펴보고 그 어원과 분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지조서」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1910년대 중엽에 작성된 지지 자료로 토지 조사 사업의 기초 자료로 간주된다. 현재 전해지는 「지지자료」는 총 5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함경남도 부분은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조서」는 ‘용지갑’, ‘용지을’, ‘부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지갑’과 ‘용지을’에는 조사 대상 지역의 지명이 한자와 한글로 기재되어 있다. 지명의 한자 표기는 정음(正音) 표기, 정훈(正訓) 표기와 차자 표기인 음차(音借) 표기, 훈차(訓借) 표기로 나날 수 있으며 정훈 표기와 음차 표기, 훈차 표기를 지명의 한글 표기와 대조함으로써 고유어 지명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조서」의 지명에는 고유어로 된 복수 지명이 수록되어 있어 그 복수 지명을 통해 고유어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지지조서」 함경남도 장진군 부분에는 358개의 지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그중 144개 지명에서 고유어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된 고유어 요소는 전부 요소와 후부 요소가 대부분이며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것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다만, ‘강물’을 나타내는 ‘-물’, ‘벼랑’을 나타내는 ‘-별이’, ‘-별리’, ‘-별우’, ‘볘루’, “산지에 있는 평지”를 나타내는 ‘-덕’ 등 이 지역 특유의 고유어 요소도 발견된다. 또한 지명에서는 ‘구억(구석)’, ‘난치(난티나무)’, ‘머어(머위)’, ‘자ᄀᆡ(자갈)’, ‘승지(음지)’ 등 함경남도 방언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고유어 요소도 찾아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 「지지조서」에 수록된 지명에는 풍부한 고유어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에는 함경남도 특유의 방언이 반영된 것도 포함되어 있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함경남도 장진군의 지명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나 앞으로 연구 대상이 「지지조서」 전체로 확대된 연구가 절실히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tract Korean words from the place names of Jangjin-gun, Hamgyeongnam-do, and to clarify the etym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Korean words. The "Jiji-joseo(Geographical Survey Documents of Korea)" is the basic data of the land survey project prepared by Office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mid-1910s. "Jiji-joseo" consists of 57 books in total. Five of them contains place names of Hamgyeongnam-do. The "Jiji-joseo" consists of two types of "Survey Paper" and "Attached Map" and the place names in the survey paper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 By contrasting Chinese characters with Hangul characters, I have extracted Korean words from the place name. The "Jiji-joseo" contains 358 place names of Jangjin-gun, Gyeongsangnam-do, of which 144 place names contained Korean words. Most of the extracted Korean words are prefixes and suffixes, which are common in other regions. However, the suffix '-mul(-muri, -mulli)' meaning 'river water', the suffix '-byeolli(-byeoru, -byeru, -byori)' meaning 'cliff', and the suffix '-deok(-deogi, -degi)' meaning 'flatland in the mountains' are unique to this region. In addition, I was able to find dialect vocabulary of Hamgyeongnam-do, such as ‘meoeo(butterbur)’, ‘gueok(corner)’, ‘nanchi(manchurian elm)’, ‘sye-(white)’, ‘jagae(gravel)’ and ‘seungji(shady spot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name of the place in "Jiji-joseo" contains many Korean words, and that Korean words reflect the dialect of Hamgyeongnam-do. This paper only studied the place name of n Jangjin-gun, Hamgyeongnam-do, but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to include the entire "Jiji-joseo"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