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의 제의적 기능과인물형상 비교 ― 서울지역 진오기·새남굿을 중심으로 ― (The Ritual Functions of Princess Bari and Jijang Bosal and Comparison of Character Types of the Two : With a Focus on Jinohgi-Sainamgut of Seoul Reg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2.12
33P 미리보기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의 제의적 기능과인물형상 비교 ― 서울지역 진오기·새남굿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5호 / 193 ~ 225페이지
    · 저자명 : 강진옥

    초록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은 무속과 불교라는 종교문화적 맥락 속에서 각기 뚜렷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신성존재이나, 망자를 천도하는 무속의례인 진오기․새남굿에서는 서로 일정한 연관성을 보이면서 제의적 기능을 수행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바리공주가 망자를 이승에서부터 저승으로 천도하는 신격인데 비해 지장보살은 망자의 극락왕생을 도와주는 신격으로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그러나 실제 무속의례에서 구연되는 사례를 보면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은 그 역할이 서로 넘나들면서 양자 모두 망자의 극락왕생을 인도하는 존재로서 인식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은 각기 신성존재로의 전환 내력을 풀이한 신화적 서사를 지니고 있다. <바리공주>는 일생담 구조로서 출생에서부터 고난을 거쳐 신직좌정에 이르는 결말까지를 서술한다. 반면 지장보살 전생담인 <바라문 딸>은 악도에 떨어진 어머니 구출을 서사의 중심축에 두고 전개되며 딸이 큰 서원을 세우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지장보살의 전생담으로서 <바라문 딸> 서사는 과거-현재-미래가 연속되면서 하나의 완성된 존재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초역사적 시간에 근거한 불교적 존재론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바리공주>는 순차적 시간성에 기반한 일대기 구조이지만, 제의를 통해 과거의 사건은 원형적 사건으로서 재현되며, 이러한 재현을 통해 가역성, 즉 초역사성을 획득한다. 따라서 과거의 사건은 종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적 시간 속에서 재현되는 원인으로서 구실한다는 점에서, 불교적 신성서사와 무속적 신성서사는 일정한 연관성을 보여준다. 그것은 양자 모두 신성시되는 이야기이자 제의적 맥락 속에서 새롭게 의미화되는 신화적 서사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거 아래 <바리공주>와 <지장보살 전생담>을 비교한 결과, 서사단락과 인물형상에서 구조적 유사성을 상당부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리공주는 아버지에게 생명을 주었던 것처럼 진오기굿을 통해 망자를 조상신으로 전환하도록 해주는 신성존재로서 역할하며, 지장보살은 지옥고를 겪던 어머니를 구출하여 천상에 태어나게 했던 것처럼 지옥중생을 구제하여 성불토록 한다. 이런 점에서 두 존재의 직능은 ’죽음에서 삶으로의 전환‘이라는 구조적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바리공주와 지장보살의 제의적 연관성이 가능했던 이유가 이미 그들의 내력을 담은 신화적 서사에서부터 그 토대가 마련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영어초록

    Both Princess Bari and Jijang Bosal(bodhisattva) are deities that take distinct positions in their respective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s, shamanism and Buddhism. Though Jinohgi-Sainamgut is a shamanistic ritual that is to lead the dead, Both Princess Bari and Jijang Bosal are carrying out ritual functions in relation to each other. Princess Bari is a god who leads the dead from this world to the other, and Jijang Bosal is a god who help the dead to reach the heaven. Their roles are complimentary to each other. However, in shamanistic rituals, the roles of the two deities are interchanged and both are perceived as helpers for the dead to reach the heaven.
    Both Princess Bari and Jijang Bosal have mythological narratives in which they transform themselves to holy beings. <Princess Bari> is a life story and tells about her life's full story from her birth, her hardships, to her transformation to deity. On the other hand, <Baramun(Braman)'s daughter>, which is the story of Jijang Bosal's previous life, evolves around saving her mother who fell into the hell and ends with her building a great temple. The story of <Baramun's daughter> depicts the Buddhist ontology which is based on the notion of ultra historical time, showing the transformation as a completed being in continuous circle of past-present-future. On the other hand, <Princess Bari> having a life-story-structure is based on a chronological time frame, it recreates past experiences into arch-typical ones through rituals and by recreation it achieves reversibility, i. e. ultra-historicalness. It shows how buddhist's holy stories are connected to shamanistic ones in that past events are not concluded but they become realized in present time. Both are holy stories and also mythical stories that take meanings in ritual contexts.
    With this background, <Princess Bari> and <The Story of Previous Life of Jijang Bosal> were compared and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narrative structure were found. Princess Bari plays a similar role as a holy being who transforms a dead into an ancestor god as the one in which she gave a life to her father. Jigang Bosal saves the sinners of the hell and help them become Buddha just like she saved her own mother from a living hell and have her to be born in the heaven. Their abilities to transform death into life show the structural similarity. The base on which they share ritual connection is their mythical narratives that tell their life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