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운영 실태 분석: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Minor Certification Program of Career Education & Guidance Teacher in Korea Using Important-Performance Analysi)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5.06
16P 미리보기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운영 실태 분석:  IPA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5권 / 12호 / 557 ~ 572페이지
    · 저자명 : 류성창, 경미선, 김갑성

    초록

    목적 본 연수의 목적은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에 참여하였던 연수 수강생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의 내용적⋅방법적 측면에서의 효과적 운영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진로진학상담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운영 계획수립 및 시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4학년도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를 참여한 연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19명(응답률 75%)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2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도구와 신뢰도는 연수 만족도 중 중요도(.922), 연수 만족도 중 실행도(.936), 연수 방식(.655) 로 나타났다. 결과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t검증 및 F검증, 중요도실행도(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매트릭스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에 대한 연수 만족도 영역의 lPA분석 결과, 중점관심영역은 연수 설계 중 교육과정 시간 배분의 적절성과 운영 시기의적절성으로 나타났다. 점진개선영역은 연수 설계 중 지역별 여건 및 상황 반영으로 나타났다. 초과달성영역은 연수 운영 중 성실한참여 여건 마련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수만족도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연수 설계, 내용, 방법, 운영 항목중 연수 방법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프로그램 중 연수생들의 역량 신장에는 태도와 자질 함양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분반 강의가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 운영되는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의 운영개선을 위해 연수 내용 간의 중복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현재 본 연수는 1월 초에 시작하여 8월 말에 끝나는 연수 과정으로 3월부터 시작하는 학교의 학사일정과 어긋나기 때문에이 부분을 고려하여 연수 운영 시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수 효과 및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소규모 그룹에서 이루어지는실습, 토의⋅토론, 견학, 멘토링 등의 연수 방법을 운영해야 한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obtaining a minor qualification in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trainees who participated. It aims to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content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program. Furthermore, it seeks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training program that can ai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rain ing operations aimed at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career and academic counselors.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2024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eacher Minor Qualification Training.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219 respondents (response rate: 7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6,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s showed as follows: Importance in training satisfaction (.922), Performance in training satisfaction (.936), and Training methods (.655).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F-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atrix.
    Result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eacher Minor Qualification Training. Second,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training satisfaction area showed that the key focus areas were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time allo cation and the timing of the training. The gradual improvement area was the reflection of regional conditions and situations in the training design. The overachievement area was the provision of conditions for sincere partic ipation during the training. Third, the IPA matrix analysis of training satisfaction indicated that among the design, content, method, and operation aspects, the training method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Lastly, it was found that in the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eacher Minor 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division-based lectures were the most effective in all areas for enhancing the competencies of trainees, except for attitude and quality development.
    Conclusions To improve the current operation of the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eacher Minor Qualification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minimize the overlap of training content. Additionally, the current train ing starts in early January and ends in late August, which does not align with the academic calendar that begins in M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training schedule accordingly. Furthermore, to enhance the effec tiveness of the training and increase participation, methods such as hands-on practice, discussions, debates, field trips, and mentoring conducted in small groups should be imple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