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震黙大師와 儒敎와의 대화 (The conversation between Jinmook(震黙) and Confuc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1.01
36P 미리보기
震黙大師와 儒敎와의 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6호 / 307 ~ 342페이지
    · 저자명 : 황의동

    초록

    震黙(1562~1633)은 조선조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에 걸쳐 조선불교사에 큰 족적을 남긴 禪僧이다. 그는 평생 글과 저술을 별로 남기지 않았으며, 완주 鳳棲寺를 중심으로 전북지역 일대에서 수많은 일화와 기이한 종교적 체험을 통해 부처님의 화신으로 일컬어 왔다.
    본고는 진묵의 생애와 행적을 통해 나타난 無碍行을 유교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논구한 것이다. 그는 한국불교에서 孝行으로 대표되는데, 출가후에도 모친을 절 가까운 곳에서 봉양했으며, 모친이 모기 때문에 괴로워하자 산신령에게 기도를 하여 모기를 좇았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또한 그는 모친이 별세하자 묘지를 정해 모셨는데, 자손이 없이도 천년동안 香火가 끊이지 않는 곳이 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아울러 모친에게 바친 제문을 통해서도 그의 효심을 잘 알 수 있다.
    특히 그는 유학자 鳳谷 金東準(1575~1661)과 道義之交를 나누었는데, 봉곡은 조선 예학의 宗匠으로 일컬어지는 沙溪 金長生의 高弟였다. 이를 통해 진묵은 유교와도 소통했음을 알 수 있는데, 진묵의 행적을 기록한 『震黙禪師遺蹟攷』가 유학자들의 관심과 정성으로 전해지고 간행되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 진묵의 삶을 통해 드러나고 전해지는 일화와 신비한 기행들은 元曉의 無碍行과 비슷하다. 진묵은 儒佛道를 會通한 경지에서 세속과 초월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든 無碍僧이라는 점에서 유학자 金東準과의 交遊가 가능했고, 또 유학자들의 존경과 흠모를 받았던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진묵의 無碍行은 종교의 벽을 넘어 유교의 이상인 修己治人, 內聖外王과 상통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Jinmook(震黙, 1562-1633) is a great Buddhist monk who lived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lthough he rarely wrote and did not left works but he was a Zen monk who put Buddhism in practice.
    This article aims to comprehend his resolute life in a Confucianism perspective. He is one of the exemplary sons in the Korean Buddhism. His recognition on Confucianism can be understood through friendship with Kim Dongjoon(金東準). Kim Dongjoon is a representative disciple of Sagye Kim Jangsaeng(沙溪 金長生) who was an excellent Confucian of Kiho(畿湖) school in the 17th Century. The two had established academic association regardless the border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Jinmook neither left the mundane world and nor stayed there. He liberally oscillated across Buddhism and Confucianism. Jinmook was a great freeman who comprehended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People respected his liberate life and personality and called him as a living Buddha.
    Although there are not writings or profound philosophies, we are able to discover a real monk through his life which practices mercy, pursues the harmonious status across religions and philosophies, and lives freely between the transcendent and the mundan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