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케직(Keswick) 사경회와 케직 지도자 아더 피어선의 은사 지속론적 성령 이해에 대한 신학적 정통성 탐구 - 칼빈, 루터, 어거스틴의 ‘기적’ 및 ‘방언’ 이해를 중심으로 (Investigating Theological Genuinity of Continuationistic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in Keswick Convention and Keswick Leader, Arther T. Pierson -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in Calvin, Luthe)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02
50P 미리보기
케직(Keswick) 사경회와 케직 지도자 아더 피어선의 은사 지속론적 성령 이해에 대한 신학적 정통성 탐구 - 칼빈, 루터, 어거스틴의 ‘기적’ 및 ‘방언’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피어선신학논단 / 10권 / 1호 / 29 ~ 78페이지
    · 저자명 : 전대경

    초록

    1900년을 전후로 케직(Keswick)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 가운데 하나였던 아더 T. 피어선을 통해 본 케직 사경회의 성령 이해는 좁은 의미에서의 (프린스턴 학파의 정통) 개혁주의 성령론보다는 넓고, 오순절의 성령론보다는 좁지만, 웨슬리안의 ‘완전’ 성화론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도, 성결의 영성을 추구한다. 이와 같은 케직 성령론의 종합적 성격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1905년 케직 사경회를 중심으로 성령의 강권적인 역사로 인하여 케직 운동은 오순절 운동과 성결 운동의 모태가 된다. 케직 성령론은 1905년을 기점으로 은사지속론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좌측의 입장과 은사중지론을 견지하는 우측의 입장,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 기독론과 말씀을 중심으로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으려고 하는 소극적인정론의 입장으로 구분되는 것을 보게 된다. 하지만 ‘구원의 유일한 초기적 증거로서의 방언’을 주장하며 ‘치유 등의 기적’을 적극적으로 권하는 오순절의 은사주의와 ‘초대교회 사도시대 이후로 기적과 방언은 멈추었으며 오늘날의 방언은 마귀가 주는 방언’이라고 경고하는 개혁주의의 중지주의가 마찰을 빚으면서 둘 모두 케직운동과 다소 멀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오늘날 현대까지 평행선을 그리고 있으며 그 거리가 좁혀질 기미가 거의 보이지 않고 있다. 케직 운동으로부터 은사주의와 중지주의가 이탈하게 되면서, 케직의 성령론은 소극적 인정론의 중간적 입장을 취하면서 말씀과 거룩한 삶, 그리고 사회봉사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지난 100여 년간 이어져 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소고의 목적은, 대표적인 기독교 정통신학자들인 어거스틴(Augustine), 마틴 루터(Martin Luther), 존 칼빈(John Calvin)의 주요 저작들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 개념들을 조사해 봄으로써, 케직의 성령 이해가 기독교 성령론으로서 신학적 정통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칼빈의 『기독교 강요』(최종판)과 『주석』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 이해를 살핀다. 칼빈의 저작들에는 그가 기적 중지론으로 보일만한 요소를 다수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의외로 방언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음으로, 칼빈의 『기독교 강요』 1판부터 4판까지 ‘기적’과 ‘방언’에 대한 칼빈의 이해에서 변화 여부를 조사한다. 1판부터 4판에 나온 부분들과 최종판(5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칼빈이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오늘날에도 지속되는 ‘기적’과 ‘방언’을 모두 인정하는 은사지속론자였음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루터의 『로마서 주석』과 『설교』 그리고 어거스틴의 『신국론』과 『설교』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을 조사한다. 루터는 그의 설교에서 은사 중지론자들을 비판하며, 자신의 말들을 중지주의로 오해하지 말라고 역설한다. 어거스틴도 초기에는 중지론자였지만, 직접 기적을 목도할 뿐 아니라 자신의 기도로 치유의 기적이 일어나는 등의 수많은 체험 후에는 스스로 기적지속론자가 되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기존에 팽배했던 어거스틴, 루터, 칼빈과 관련한 은사중지론에 다소 오해와 곡해가 있었음을 밝힌다. 어거스틴, 루터, 칼빈 등의 기독교 정통신학자들의 저작에 나타난 ‘기적’과 ‘방언’에 대한 언급들은 은사를 ‘말씀의 전파’를 떠나 남용하지 말라는 의미이지, 은사가 완전히 중지되었다는 뜻이 결코 아니었다. 또한, 성경이나 기독교 정통신학자들 그 누구도 ‘방언이 구원의 유일한 표식’이라거나 ‘오늘날의 방언이 마귀방언’이라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독교 정통주의 계보를 잇는 어거스틴, 루터, 칼빈과 같이 온건한 기적지속론적 입장에 서 있는 ‘케직의 지도자 아더 피어선과 케직 사경회의 성령 이해’는 기독교 신학적 정통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Keswick movement around 1900, Arthur T. Pierson, saw the Keswick pneumatology in a broader sense than the old Princeton school’s Reformed one, but saw it in a narrower sense than the Pentecostal one. While the Keswick pneumatology does not embrace the concept of Wesleyan perfection of sanctification, it seeks Christian holy life. As can be seen in this comprehensive nature of the Keswick pneumatology, the Keswick movement became the birthplace of both movements of the Pentecostal and the Holiness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in 1905. Since 1905, Keswick pneumatology seemed to be divided into roughly three trajectories: on the left that pursues the spiritual gifts passionately, on the right that cleaves to cessationism, and in the middle, somewhat mild continuationism that seeks not to lean on any sides but to stand on the christology and the Word firmly. However, both the pentecostal and reformed have become somewhat distant from the Keswick movement due to the conflict between charismaticism, which asserts speaking in tongue as “the” initial physical evidence for salvation, and cessationism, which warns that the miracles have been ceased since early church apostolic era and speaking in tongue today is the devil-given. This conflict seems still divergent and shows little sign of converging. With the withdrawals of charismaticism and cessationism, Keswick pneumatology has taken the mild continuationism path and continued for the past 100 years in a way to pursue the Word, holy lives, and social service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in the major works of the leading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Augustine of Hippo, Martin Luther and John Calvin. And it aims to examine if the Keswick pneumatology has the “genuinity” as the orthodox pneumatology. To do this, first,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in Calvin’s Institutes(1559) and Commentaries are dealt. It is true that there are remarks that seem to support cessationism in Calvin’s works. However, surprisingly, Calvin’s also have references that acknowledge “speaking in tongue” still prevalent today. Secondly, it is investigated if there have been any semantic changes with the concepts of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throughout the 1st all the way to the 4th edition of Calvin’s Institut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nal with the first through fourth editions of Calvin’s Institutes, it is clarified that, unlike previously known, Calvin was a continuationist who acknowledges that both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are persistent even today. Last but not least, references to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s” in Luther’s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Romans and Sermons and Augustine’s the City of God and Sermons are examined. In his sermon, criticizing cessationists Luther asserts that his remarks ought not to be misunderstood as supporting cessationism. Although Augustine was a cessationist in his early days, he became a continuationist himself after seeing numerous miracles and experiencing healing by his own prayer.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re have been rampant misunderstanding and misconstruing as to cessationism and continuationism in Augustine, Luther and Calvin. In the works of these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remarks related to “miracles” and “speaking in tongue” never meant that the gifts have been ceased completely since apostolic era but meant not to abuse gifts apart from spreading the word of God. It is argued, in this article, that the Bible and Christian Orthodox theologians neither acknowledge “speaking in tongue as the initial physical evidence” nor assert “speaking in tongue today is devil-given.” Therefore, it is legitimated that the mild continuationistic pneumatology of the Keswick and its leader Pierson is in the genuine line of Christian Orthodox lineage with Augustine, Luther, and Calv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