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에서 ‘합리적 이유’ 요건의 판단과 개선 (Judgment and Improvement of ‘Reasonable Grounds’ Requirement in Non-regular Workers Discrimination Correction Syst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비정규직 차별시정제도에서 ‘합리적 이유’ 요건의 판단과 개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감법학 / 59호 / 735 ~ 766페이지
    · 저자명 : 조용만

    초록

    기간제법과 파견법(이하 ‘비정규직법’)은 기간제근로자, 단시간근로자 및 파견근로자(이하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를 금지하고 있다. 차별적 처우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불리한 처우에 합리적 이유가 없을 것을 요건으로 한다. 합리적 이유 요건은 규범적차원에서 차별적 처우 여부를 판단하는 최종 단계이고 실천적 차원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불합리한 격차의 해소를 도모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글은 합리적 이유 요건의 판단과합리적 이유 요건의 개선으로 구분하여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입법적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합리적 이유에 대한 심사척도 가운데 적정성 심사척도가 실무상가장 바람직하고, 판례법리도 그 적용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판례가 제시하고있는 합리적 이유 판단기준에는 일정한 한계도 있다. 즉, 불리한 처우의 객관적 사유 중 어떤사유를 기준으로 하여 합리적 이유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지가 불분명하고, 합리적 이유 판단의 전제가 되는 임금 항목의 범주화 기준도 명확하지 않다. 주요 사례를 검토해 보면, 실제 차별시정사건에서 불리하게 처우할 필요성에 비추어 불리하게 처우한 정도가 적정한지에대한 심사 및 적정한 처우의 실현을 위한 적절한 시정명령이 확립⋅관철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 동일처우 내지는 적정한 처우의 실현을 위한 제도개선을모색할 때 일본의 비정규직법은 유용한 참고가 된다. 비정규직 차별에 대한 행정적⋅사법적구제에서 동일처우 내지는 적정한 처우가 실현될 수 있도록 비정규직법상 차별적 처우에 관한 정의에서 ‘합리적인 이유가 없는 경우’의 의미와 그 구체적 판단기준을 명문화할 필요가있다. 또한 노동위원회가 적정 처우의 수준과 상당한 손해액을 재량적으로 결정하여 배상명령을 할 수 있도록 근거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비정규직법개정안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Fixed-Term Act and the Dispatch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on-regular Workers Act”) prohibit discriminatory treatment of fixed-term workers, part-time workers, and dispatched work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regular workers”). Discriminatory treatment requires that there is no reasonable ground for unfavorable treatment of non-regular workers. The rationality requirement is the final step in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discriminatory treatment at the normative level, and in practice, it is an area that can eliminate the unreasonable gap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This article is divided into judgment of rationality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of rationality requirements, and attempts legislative improvement along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Among the criteria for judging reasonable grounds, the adequacy test criterion is the most desirable in practice, and it can be seen that case law also recognizes its application. There are also certain limitations to the criteria for judging reasonable grounds presented by precedents. It is unclear which of the objective reasons for unfavorable treatment should be used to determine rationality, and the criteria for categorizing wage items that are the premise of determining rationality are not clear.
    Reviewing the major case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judgment on whether the degree of unfavorable treatment in the discrimination correction case is appropriate is being made properly. Japanese law is a useful reference when seeking to improve the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equal treatment or appropriate treatment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In the definition of discriminatory treatment under the Non-regular Workers Act,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the meaning of “if there is no reasonable reason” and specific criteria for judgment so that the same treatment or appropriate treatment can be realized in administrative and judicial remedies for discrimination against non-regular work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ground rules so that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can order compensation at its discretion by determining the appropriate level of treatment and the amount of considerable damag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lso proposes ways to amend the Non-regular Workers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