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속성에 따른 의무와 재량행위 (The Duties and Discretionary Act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Attributes in Kore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8.05
24P 미리보기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속성에 따른 의무와 재량행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 / 9권 / 1호 / 119 ~ 142페이지
    · 저자명 : 황미경

    초록

    한국의 사회복지사 제도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사 양성 교육과 자격증 제도를통하여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속성은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법, 사회복지서비스 개별 법률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자격과 의무, 교육체계, 교육과 훈련, 전문가 단체, 채용과 지위향상 등을 명시하여 제 학자들이 제시한 전문직 요건을 규율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도적 속성에 따른 사회복지전문직의 자격과 법적 의무, 전문직으로서의자율성과 재량행위의 특성을 고찰한 바, 도출된 함의에 따른 한국 사회복지전문직 활동의 신장과 정체성 제고의 방향은, 첫째, “사회복지사”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정의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사의 법적 정의에는사회복지법령이 정한 전문가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사회복지전공 영역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특정 분야에서 실습과 수련 및 경력을 갖추도록 하는 세부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전문직의 자율성과 재량권 발휘는, 정부조직법, 사회복지 관련 법률,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에 따른 권한과 재량 및 전문가 윤리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문직의 재량권 보호를 위한 민간위탁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전문직의 지위와 경력관리를 위한 법제적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전문직의 전문가적 지위를 관리하는 처우 문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며 사회복지사들의복지 확대 역시 전문직으로서 지위와 정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므로,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법 등에 의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지위 향상과 국민 복지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사의 전문가적 역량 교육을 위한 법정 필수교과목의 확대로 전문성 신장을위한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재편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네럴리스트 및 스페셜리스트 양성에필요한 교과목 재편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수퍼비젼 수행”의 의무조항을 신설하고 사회복지현장실습 심화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전문가적 자율성의 이해에 기반한 실천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 제도의 실효성 확대를 위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재량행위 보호와 책임성강화, 사회복지 직업 영역의 독점을 위한 사회복지사업법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사의 자격과 직무의 범위를 명문화하고 사회복지전문직 별 직무분석, 기술의 훈련과 실천, 타 전문직의 협력에 관한 사회복지법상의 자격과 직무의 명확화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system for social worker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s a form of educ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ers and the license system grounded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 institutional attribute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are stated in the law related to social welfare in terms of the qualifications and duties of professions,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expert groups, employment duties, and the enhancement of their status; therefore, they satisfy the conditions of professions suggested by schol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qualifications and legal dutie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utonomy and discretionary acts in those professions in accordance with institutional attributes. Regarding the ways to reinforce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and enhance their identity in Korea, first, it is necessary to define “social workers” in detail legally. It is needed to establish rules to have them be equipped with expert qualifications stated in social welfare-related legislations by completing the major course of social welfare and accumulating their career through training in particular area. Second, social welfare professions’ autonomy and discretionary power should be understood in the perspectives of authority, discretionary acts, and expert ethics grounded on the laws. Since private consignment organizations should not be involved in any tasks directly related to people’s rights or duties which the government is responsible for, the autonomy of professions can be secured through discretionary acts. Third, to increase the responsibilitie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and monopolize the area of welfare, the legislations of social welfare should clearly establish the range of jobs provided to social worker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for social workers. Fourth, it is needed to reorganize the system about social workers’ qualifications to enhance their expertise. Also, regarding the ways to increase compulsory subjects legally designate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subjects that are needed to cultivate generalist and specialist social workers in different areas of welfare.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will have to add detailed major-related regulations and articles about duties to “carry out supervision over social welfare”.
    Also, it is necessary to allow field practice for social welfare in two or three areas and gradually deepen the course for essential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expert competencies. Fifth, it is needed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manage the status of social welfare professions. The matter related with how to treat social welfare professions is up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Because bettering welfare for social workers is also a factor to enhance the status and identity of their professions, it is needed to improve social workers’ expertise and enhanc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for people under the Social Welfare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