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장실험을 통해 분석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직무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ecuring Jobs for Non-Regular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nvolvement: Field Experiment at Seoul A Public Corpor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현장실험을 통해 분석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따른 직무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관계연구 / 30권 / 4호 / 63 ~ 90페이지
    · 저자명 : 방장영, 이영면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8년 3월에 실시된 서울 A공사의 ‘안전업무직’에 대한정규직 전환 사건을 기준으로, 해당 비정규직의 심리적 상태에 대하여 정규직 전환 전 사전 조사 및 정규직 전환 후 사후 조사를 각 1회씩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인 비정규직의 비율이 비정규직 100%에서 비정규직 0%로 바뀌는 실험적 상황에서, 같은 시기에 동 정책의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던 기존의 정규직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한 후, 정규직 전환정책이 시행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사전과 사후 조사를 시행하고 대응표본 t-검정 및 DID test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때, 그 비정규직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는 증가하였으나, 요인별로 보면 임금소득, 고용안정성, 복리후생 등에 대한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증가하였고, 직무 내용이나 근로환경 등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요인별 조직몰입도에서는 의미 있는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동일한 시기에 조사된 통제집단인 정규직 집단의 경우 전반적 직무만족도에서 하락하였으며, 조직몰입도는 일부 요인에서 하락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정규직 전환정책에서 제기된 문제를 설명하는 경쟁적 이론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조사를 시행한 후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의 실무적 시사점 및 토론 방향을 제시하여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정책이 민간부문에서의 적용에 마중물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job attitudes improve as expected when non-regular workers are converted to regular workers. Theoretically, there may be a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transit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jobs necessarily improves job attitud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as an example, former non-regular workers were compared themselves with non-regular workers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who performed similar jobs because they were virtually in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permanent workers. However, after the transition to regular workers, their reference group may be changed to existing regular workers, not the non-regular workers anymore. As a result the, job attitudes may fall because of this change in reference group.
    To analyze the argument above, this study measure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on-regular workers who were converted to regular workers at Seoul A corporation under Seoul Metropolitan City.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wo surveys were conducted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ransit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in the corporation in March through June 2018.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the control group of existing regular workers was set and surveyed simultaneously. To verify the hypeses, paired t-test and DID test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ition to regular employment has increased job satisfaction for non-regular workers. But the change was not strongly significant as expected by the government and by the scholars who support the transition to regular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how that the existing regular workers lower their job attitudes when the experimental group of non-regular workers changes their job status from non-regular to regular employment. This result was interesting because it is expected that the job attitude of control group would not change at all because their physical aspect of working conditions does not change.
    In the theoretical review of this study, the social comparison theory predict that job attitudes of experimental group may not be necessarily improved or even lowered because the group changes its reference from non-regular to regular workers after the transition. This prediction was supported b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Of course, this empirical study needs a cau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the study analysed only a sample of specific job group of workers at a public organization in Seoul. Also, the size of control group is not large enough to secure the empirical results. However, this result can be a first step to analyze the real effect of transition of non-regular workers to regular workers in Korean public se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