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지리지에 나타난 기자조선 인식 (Recognition on Kija Joseon Shown from Topographies of Joseon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7
29P 미리보기
조선시대 지리지에 나타난 기자조선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6호 / 123 ~ 151페이지
    · 저자명 : 조원진

    초록

    조선시 지리지는 역 왕조의 영역에 해 서술했고 구체적인 영역 비정은 주로 기자조선 시부터 이루 어졌다. 지리지에서 기자조선은 三朝鮮 중의 하나로 평양의 기자 유적과 기자조선의 영역을 중심으로 서술되 었다. 조선전기에 편찬된 지리지는 관찬 지리지로 기자조선의 영역을 한반도로 국한하며 자세한 영역 비정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조선중기 이후에는 개인이 편찬한 지리지와 지방에서 편찬된 읍지가 나오게 되었다. 『平壤志』 등의 읍지에 서는 평양을 단군 및 기자의 도읍지로 강조하고 기자 유적 등 기자에 한 내용이 풍부하게 실려있다. 조선시 에 평양의 기자 유적에 해서는 이를 기자와 연관시켜 중요시하는 입장과 합리적으로 비판하는 시각이 공 존하였다. 조선후기에는 만주에 한 지식이 증되면서 만주지역을 한국 고국가의 중심지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이 시기 지리지에서는 주로 기자가 봉해진 지역과 기자조선의 중심을 여전히 평양으로 보았다. 그러면서 기자 조선의 영역은 만주로 확장해 보면서 영역 변천을 상세히 고증하였다. 하지만 일부 지리지에서는 기자조선의 도읍을 만주로 비정하는 인식이 나타나는데 김정호의 『大東地志』가 표적이다. 김정호의 기자조선 지리 연구 는 기자의 도읍이 평양이라는 기존 역사서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로 주목할 수 있다. 조선시 학자들의 기자조선 영역 변동과 지명 이동을 통한 중심지 이동 연구는 기자조선설을 극복한 근 시기에 토착세력인 고조선의 영역 연구로 계승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e topographies of the Joseon dynasty described the areas of successive dynasties and the positioning of specific areas often began since the Kija Joseon Dynasty. Topographjes describes Kija Joseon(箕子朝鮮) as one of three Joseons(三朝鮮) around the Kija relics in Pyongyang and the area of Kija Joseon. The topographie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official ones, could not position detailed areas, because they limited the area of Kija Joseon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 Joseon, the topographies privately published and Eupjis published from provinces appeared. The Eupjis including 『Pyongyangji』 stressed Pyongyang as the capital of Old Joseon and Kija, and contains a lot of contents about Kija including Kija relics. In the Joseon dynasty, a perspective which stressed the Kija relics in Pyongyang by connecting it with Kija coexisted with the other one which rationally criticized the form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new perspective that recognized the Manchuria area as the center of the Korean ancient nation appeared, as the knowledge of it was increased. In that period, Topographjes still regarded Pyongyang as the area in which Kija was crowned king and the center of Kija Joseon. It also specificall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area, extending the area of Kija Joseon to Manchuria. Some topographies, however, began to position the capital of Kija Joseon as Manchuria and critically perceive the Kija relics located at the Pyongyang area. The representative one of them was Kim Jeongho’s 『Daedongjiji』. It is important to focus on Kim Jseongho’s study on the geography of Kija Joseon, in that it overcomes the existing topographies describing that the capital of Kija was Pyongyang. Joseon scholars’ study on the movement of centers through the changing of Kija Joseon areas and the movement of place names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was inherited to the study on the area of Old Joseon, local powers, in the modern age when the Kija Joseon theory was over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