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용전문지 내용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 (The content analysis and future direction of dance magazine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2.04
16P 미리보기
무용전문지 내용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무용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 70권 / 2호 / 157 ~ 172페이지
    · 저자명 : 송용경, 김경회

    초록

    현대사회는 수많은 정보 속에 더불어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집단의 세분화, 직업의 전문화, 직종의 다양화가 이루어졌으며, 각 분야의 사회구성원들은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한 보다 심도 있고 폭넓은 정보의 중요성이 인식되었다. 때문에 더 신속하고 정확하며 심도 있는 정보를 취하는 일은 한 개인이나 집단에 있어 더없이 필요하다. 무용만을 전문으로 하는 매체가 없는 우리나라 무용계에서 무용전문지가 발간되고 있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무용전문지는 무용계 전체의 힘을 기르고, 무용문화의 지적수준을 선도할 수 있는 매체로써, 일회의 공연으로 사라져 버리는 무용문화에 대한 실제적인 자료라고 생각할 때, 그 중요성이 더욱 크게 부각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용전문지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과 그 가능성을 밝혀 봄으로써, 그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방안 제시에 목적을 두었으며, 국내에서 발행되고 있는 무용 전문지 월간『춤』,『몸』,『춤과 사람들』의 운영실태와 지면수를 통한 내용분석을 연구하여 무용전문지의 편집 제작 경향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무용 전문지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는 한편, 무용전문지가 무용계에 끼치고 있는 영향력은 물론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무용전문지는 각 무용전문지사의 상호 활발한 정보교환을 통해 독자적인 영역의 연구 개발과 그에 따르는 창의적 편집 체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며, 적극적인 무용인의 활동 전개를 위해 구체적인 정보기능의 강화와 무용평의 평론대상을 무용계 전반으로 확대하여 객관성 있는 논평과 폭넓은 보도에 주력해야 한다. 또한 독자층에 대한 연구와 그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들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무용전문지사의 노력 이외에도, 정부와 무용계의 적극적인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수반되어질 때에 실현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한국무용계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해외 교류와 전문 인력의 양성을 통하여 독창적인 예술 영역의 확보를 이룰 수 있다.

    영어초록

    People living in current societies are facing with a myriad of information. For the reason, it is necessary for both individuals and groups to acquire profound information quickly and precisely. Publishing dance magazines in South Korea where media only for dance have not been created in the dance circle is considered considerably significant. Dance magazine is a medium which enhances the power of the entire dance circle and increases the intellectual level of dance culture. Given the fact that it serves as an actual data on dance which disappears after one-time performance, the medium is of even more import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ssues and the possibility of dance magazines and to propose more desirable ways.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publication status and pages of dance magazines monthly published in South Korea -- Dance, Body, and Dance and People,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on the edition directions of the dance magazines. As a result, this researcher tried to find a way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ancing magazines, found ways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ance magazines,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magazines on the dance circle, and seek a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for domestic dance magazine publishers to research and develop an unique area through the active exchanges of information between the publishers and thus develop a creative editorial system. It is necessary for the publishers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to help dancers take more activities, and make an effort in reporting objective reviews and a wide range of subjects through the expansion of dance critiqu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realistic measures helping academic readers and reflecting their opinions. Such environments can be realized when the active supports and constant interests of the government and the dance circle are to be accompanied with the efforts of the dance magazine publishers. And, through the active exchanges of the Korean dance circle with other international groups and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unique artistic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