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왕궁사원 내제석궁(內帝釋宮)사지의 안압지 남쪽 위치와 안압지 판불 금동석가삼존불상의 종합적 연구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Location of Naejesaekgung Temple Site within the Royal Palace Complex of Silla, South of Anapji, and the Gilt-Bronze Shakyamuni Buddha Triad Plaques Excavated from Anapji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신라 왕궁사원 내제석궁(內帝釋宮)사지의 안압지 남쪽 위치와 안압지 판불 금동석가삼존불상의 종합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3호 / 357 ~ 382페이지
    · 저자명 : 문명대

    초록

    내제석사는 안압지 남쪽에 있었던 신라 왕궁 내 사원이었는데 일명 천주사라고도 했다. 안압지 남쪽에 면했던 왕궁사원이었으므로 안압지에서 출토된 판불금동삼존불상은 내제석사의 불상으로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내제석사의 위치와 내제석사의 금동삼존불상에 대해서 여러 가지 점을 밝히게 되었다.
    첫째, 안압지는 현재로서는 월지(月池)인지 잘 알 수 없으며, 안압지는 내제석궁 북쪽에 면한 궁지(宮池)이고 안압지 남면에서 반월성까지 약 100m이내가 내제석궁 즉 내제석사(內帝釋寺: 天柱寺)이다. 따라서 안압지 남면의 건물지들은 내제석사의 통일신라때 확장된 불전들이며 안압지 출토 불교미술들의 대부분 내제석사의 것으로 생각되므로 금동삼존불상 역시 내제석사의 불상들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둘째, 이 불상은 굽타의 항마촉지인식 우견편단의 불상이 아닌 초전법륜인의 굽타식 통견의 형식의 삼존불상이다. 특히 현장과 왕현책등에 의하여 전래된 새로운 도상 형식이 적용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안압지 금동삼존불상은 인도 굽타의 전형적 사실양식과 중국 당의 사실양식의 영향을 받아 전형적 신라식 사실양식의 불상을 정립한 불상 가운데 대표적이자 걸작의 궁정식 불상으로 높이 평가된다. 특히 삼곡자세의 세련된 보살상과 대좌나 광배의 연화문 및 보상당초문의 정교하고 세련미 넘치는 미술 양식은 비할 바 없는 680년대의 최고 걸작이다.
    넷째, 이 삼존불상은 수인이 초전법륜인이고 좌우보살상이 도상형식상 관음과 대세지 보살이 아니므로 아미타불상이 아닌 석가불상으로 내제석사 금동석가삼존불상이라 명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다섯째, 이 금동삼존불상은 현존하는 신라 내제석사 최고의 금동석가삼존불이자 680년경의 통일신라 사실양식 불상의 최고 걸작이라는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영어초록

    Naejeseok-sa ​​temple was a temple within the Shilla palace located south of the Anap-ji site, and was also called Cheonju-sa temple. Since it was a palace temple located south of the Anap-ji site, the Gilt Bronze Buddha Plaques Triad excavated from the Anap-ji site are believed to be Buddhist statues from the Naejeseok-sa ​​temple. This article sheds light on several points about the location of the Naejeseok-sa ​​temple and the Gilt Bronze Buddha Triad from the Naejeseok-sa ​​temple.
    First, the Anap-ji site is currently unknown whether it is Wolji (月池), Anap-ji site is a palace pond (宮池) facing north of Naejeseok palace, and from the south side of Anap-ji site to Banwolseong, about 100m away is Naejeseok palace, or Naejeseok-sa ​​temple (內帝釋寺: 天柱寺). Therefore, the building sites on the south side of Anap-ji site are Buddhist buildings of Naejeseok-sa ​​temple expand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since most of the Buddhist art excavated from Anap-ji site is thought to be from Naejeseok-sa ​​temple, we can also see that the Gilt Bronze Buddha Triad are also Buddhist statues from Naejeseok-sa ​​temple.
    Second, this Buddha statues are not Buddha statues of Gupta's demon-conquering touching mark (降魔觸地印; Hangmachokjiin) style Ugyeonpyeondan (右肩偏袒; method of wearing the robe from the left shoulder to the armpit, leaving the right shoulder exposed), but Buddha Triad in the form of the Gupta-style Tonggyeon (robe covering both shoulders) of the Chojeonbyeopryunin (初轉法輪印).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Buddhist statues that applied a new iconography format introduced by Hyeonjang and Wang Hyeon-chaek (王玄策).
    Third, the Gilt Bronze Buddha Triad at the Anap-ji site are highly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and masterpiece court-style Buddhist statue among the Buddhist statues that established a typical Shilla-style Buddhist statue influenced by the typical realism of the Indian Gupta and the realism of the Chinese Tang. In particular, the refined Bodhisattva statue in the three-bowed posture, the lotus pattern on the pedestal and halo, and the exquisite and refined artistic style of the Bosangdangcho pattern on the top are the best masterpieces of the 680s that are beyond compare.
    Fourth, since these Buddha Triad have the handprint of Chojeonbyeopryunin, and the Bodhisattva statues on the left and right are not Avalokiteshvara and Mahasthamaprapta in terms of iconography format, it is most reasonable to name it the Naejeseok-sa ​​temple Gilt Bronze Sakyamuni Buddha Triad, not the Amitabha Buddha Statues.
    Fifth, these Gilt Bronze Buddha Triad are the best Gilt Bronze Sakyamuni Buddha Triad in existence at Shilla Naejeseok-sa ​​temple, and has historical significance as the best masterpiece of the Unified Shilla Sakyamuni style Buddha statues from around 680 A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