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도시 경성과 김유정의 언어감각 (Colonial Kyongsong and Kim Yu-Jeong’s Proper Noun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8.08
26P 미리보기
식민지 도시 경성과 김유정의 언어감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人文科學硏究 / 38권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권은

    초록

    김유정은 강원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로 널리 사랑받는 작가이다. 그렇지만 그는 경성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도 상당수 남겼다. 그는 고유명사보다는 일반명사를 주로 활용하고 형용사와 부사를 풍부하게 사용하며, 배경에 대한 구체적 묘사 없이 인물의 심리에 집중함으로써 경성의 주변부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도시 빈민들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김유정은 특수한 시대적 맥락을 반영하기보다는 식민지 시기의 빈한한 사람들의 전형적인 삶을 재현하고자 했다. 김유정의 작품에는 고유명사가 제한적으로 등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그의 작품에서 간혹 등장하는 고유명사나 지명은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보다도 훨씬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의 작품에서 고유명사의 등장은 그 자체로 하나의 작은 ‘사건’이 된다.
    신당리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는 「슬픈 이야기」와 「옥토끼」 등이 있다. 신당리는 경성 동부의 외곽 지대로 묘지와 화장장 등의 시설이 위치했으며, 토막민이나 빈민들이 모여 살던 가난한 곳이었다. 사직동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는 「따라지」와 「생의 반려」 등이 있다. 사직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경성 주요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가파른 언덕이 있어 오르내리기가 힘들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 일대의 집들은 대부분 초가집이었다. 종로 일대로 한 작품으로는 「두꺼비」, 「생의 반려」, 「야앵」, 「봄과 따라지」 등이 있다. 이곳은 조선인들이 모여드는 번화한 상업지구로 김유정 작품 속에서 자주 등장한다. 그 중에서 「봄과 따라지」는 종로 야시를 배경으로 하여 열 살인 꼬마 ‘따라지’의 시점으로 전개되는 특이한 작품이다. 김유정의 도시소설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형식적 실험은 그의 모더니즘 작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Kim Yu-Jeong is a widely loved author who is well known for his literary work that has a background setting of Gangwondo. However, he also left many other pieces of literary work based on colonial Kyongsong. One of the reasons why his city novel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s due to his unique linguistic sense. He used adjectives and adverbs more often than nouns in his writing with an urban background setting, and he preferred to use common nouns rather than proper nouns. As the places’ names were rarely featured in his work, it implied that the characters were not easily assimilated into the space of context. However, Kim Yu-Jeong’s city novels provide geographic information by mentioning one or two times. Sindang-ri, Sajik-dong, and Jongno are the most important places that were featured in his work.
    Generally, reality effects that are predominantly featured in literature have plenty of proper nouns. Abundant use of proper nouns gives a feeling of showing reality to readers. The literary work of Kim Yu-Jeong offers an impression that it did not reproduce sufficiently the spatiotemporal context compared to other work. However, his unique linguistic sense of using common nouns more than proper nouns is appropriate for portraying the world from Kyongsong’s poor peoples’ point of view. This is because proper nouns are less familiar to urban poor. Limited use of proper nouns from Kim Yu-Jeong’s novel can be a conclusive clue which help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his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