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남 남해안 지역의 지명 고찰 - 『조선지지자료(朝鮮地志資料)』의 흥양군, 돌산군, 여수군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Place Names of the Southern Coast Areas of Jeonnam - Focus on Data on Heungyang-gun, Dolsan-gun and Yeosu-gun in 『Joseonjijijary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전남 남해안 지역의 지명 고찰 - 『조선지지자료(朝鮮地志資料)』의 흥양군, 돌산군, 여수군 자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41권 / 290 ~ 327페이지
    · 저자명 : 황금연

    초록

    이 연구는 『朝鮮地志資料』의 전남 남해안 지역 흥양군, 돌산군, 여수군의 지명 표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원전(原典)의 한글표기 지명과 한자표기 지명을 산명(山名), 천명(川名), 도진명(渡津名), 고개명(峙名) 등 종별로 제시하고, 원전 자료와 후대 문헌 자료를 근거로 표기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원전에 표기법, 음운현상, 지역어, 지명접미사, 지명의 생략 등이 반영된 표기는 오류로 보지 않았다.
    둘째 한글과 한자표기가 대응하는 지명을 음절(音節) 단위로 음차표기(音借表記), 훈차표기(訓借表記), 혼합표기(混合表記) 등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한글과 한자표기가 대응하지 않는 표기는 복수지명으로 분류하고 이들을 분석, 해석하였다.
    셋째 후부요소의 한자와 한글 표기 양상을 살폈다. 특히 ‘谷‘’(곡)은 ‘골’, ‘곡’과 대응하는데 ‘고ᄀᆡ(고개)’와의 대응이 특징적이다.
    마지막으로 한글표기 지명에 나타나는 표기법, 음운현상, 지역어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애’의 과도 교정된 ‘ᄋᆡ’가 일반적으로 쓰인다(예: ᄃᆡ(大), ᄌᆡ(山)). 합용병서는 ‘ㅺ’, ‘ㅼ’, ‘ㅽ’, ‘ㅾ’ 등이 쓰인다. 많지 않지만 7종성법, 과도 분철표기 등이 확인된다. ‘ㅅ, ㅈ’은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와 함께 쓰이는데 후자와의 결합도 상당히 나타난다. 특히 ‘ㅅ’은 음성모음 ‘ㅕ, ㅠ ’와 결합이 활발하여 쓰이고 양성의 ‘ㅛ, ㅑ’와 결합은 한두 예만 나타난다.
    한글표기 지명에는 모음교체, 움라우트, ‘ㄱ’ 구개음화 등이 반영되어 있다. 지역어도 반영되어 있는데 몰·마실[村], 냇[川], 낭우[木], 우게[上], ᄌᆡᄯᅳᆼ[峙] 등 다수가 있다. 옛말 ‘복셩’[桃], ‘오얏’[李] 등도 나타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lls of place names of Heungyang-gun, Dolsan-gun and Yeosu-gun of the Southern Coast of Jeonnam in the 『Joseonjijijaryo』.
    For the study, Korean and Chinese spellings of place names in the original text were presented according to kinds such as mountain names, stream names, Dojin names and pass names and errors in spellings were corrected based on the original text and literature materials.
    First, this study did not consider the spellings for which notation, phonological phenomena, local language, suffixes of place names and omission were reflected as errors.
    Second, it categorized place names that Korean spellings corresponded to Chinese spellings into transliteration, transcription and mixed spellings according to syllables. The spellings that Korean spellings did not correspond to Chinese were categorized into plural place names and analyzed and interpreted.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Chinese and Korean spellings of rear parts. In particular, Gok corresponded to Gol and Gok, but it was characteristic that it corresponded to Gogae(pass).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spellings, phonological phenomena, local language shown in Korean-spelled place names. ‘ᄋᆡ’ for which ‘ae’ was excessively reversely corrected was generally used(for example: dae(大) and jae(山)). As for laterally attached consonants, the followings were used: ‘ㅺ’, ‘ㅼ’, ‘ㅽ’ and ‘ㅾ’. Not a lot, 7-final consonants and excessive syllabication were used. ‘ㅅ and ㅈ’ were used together with‘ㅗ, ㅏ, ㅜ, ㅓ’and ‘ㅛ, ㅑ, ㅠ, ㅕ’ and there were a lot of cases that they were connected with the latter parts. In particular, ‘ㅅ’ was actively combined with passive vowels of ‘ㅕ and ㅠ’ and there were only one or two cases found that it was combined with positive vowels of ‘ㅛ andㅑ’.
    In Korean-spelled place names, vowel gradation, umlaut and‘ㄱ’palatalization were reflected. In local language, the above phenomenon was found; mol·masil[村], naet[川], nangwu[木], woogae[上], and Jatdeung[峙] were examples. In old languages, Bokseong[peach] and ‘Oyat’[pear] were exa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