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징어 게임』 어펙트, 마주침의 윤리와 연결성의 에톨로지 (Squid Game Affect : The Ethics of Encounter and the Ethology of Connectivity)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03
46P 미리보기
『오징어 게임』 어펙트, 마주침의 윤리와 연결성의 에톨로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2호 / 125 ~ 170페이지
    · 저자명 : 권명아

    초록

    『오징어 게임』의 ‘의미’는 원작 드라마의 내적 특성이나 마케팅 전략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텍스트 생산과 수용에 관여하는 다양한 행위 주체들의 마주침과 마주침에서 촉발되는 의미, 감각, 반응, 정서에 의해 ‘점점 더 자라난다.’ 넷플릭스라는 글로벌 플랫폼과 수용자, 텍스트라는 물질적 행위자와 인간 행위자의 마주침을 통해 의미, 감각이 마치 생명체처럼 자라나고 생성하는 방식을 우리는 정동적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정동적 마주침의 과정을 통해 텍스트를 둘러싼 의미-감각의 아상블라주가 생성되고 지금도 생성 중이다. 이러한 아상블라주는 이질적이고 때로는 적대적인 해석과 정치적 방향성들이 마주치는 투쟁과 경합의 배열체가 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오징어 게임』 해석을 텍스트의 단순함과 해석 아상블라주 생성에 개입하는 생체 매개 된 몸들의 복잡계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동 정치의 문제로 접근한다. 또 이는 『오징어 게임』 텍스트에 대한 해석 뿐 아니라 넷플릭스라는 플랫폼의 고유한 정동 정치에 대한 분석과 연결된다. 넷플릭스는 사용자의 연상반응에 기초하여 작품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어서 시스템 자체가 사용자의 정동을 조율(modulation)하는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정동 조율에 의해 시청자를 활성화하는 건 시스템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콘텐츠, 특히 최근 상위권에 오른 텍스트의 주요 특징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오징어 게임』에 대한 해석만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오징어 게임』의 초국가적 흥행은 전 지구적인 문화 산업 시장에서 ‘미투 시대’가 콘텐츠로 전유되고 지배적 흐름이 되었던 과정과 이에 대한 전유와 반작용이 콘텐츠 생산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준다.
    『오징어게임』은 초국가적인(transnational) 반페미니즘 백래시 흐름의 형성과 문화자본, 초국가적 플랫폼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사례이다. ‘미투’로 상징되는 전 지구적인 페미니즘 흐름은 문학과 문화 텍스트 생산에 커다란 변화를 초래했다. 특히 가스라이팅에 대한 비판과 서사를 여성 주체화 서사로 전유한 문화적 흐름은 전지구적인 유행이 되기도 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런 서사를 도메스틱 느와르라고 명명하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도메스틱 느와르를 각 지역의 맥락에 따라 생산하고 배급하는 주요 플랫폼이 되기도 했다. 또한 도메스틱 느와르는 넷플릭스의 서비스와 관극 방식에 매우 잘 부합하는 서사 양식이기도 했다. 『오징어 게임』은 전 지구적으로 유행했던 도메스틱 느와르를 폐쇄된 통제 환경에 갇힌 중년 남성 가부장의 게임 서사로 전유했다. 이런 서사적 전유 과정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부정적 반작용 역시 서사 단위로 구성된다. 또 이는 넷플릭스 텔레비전 쇼 프로그램의 흥행 순위가 『퀸스 갬빗』, 『레이치드』 등의 도메스틱 느와르 장르에서 『종이의 집』, 『뤼팽』, 『오징어게임』으로 이동한 큐레이션과 초국가적 문화 흐름 변동의 산물이다. 이런 변동은 도메스틱 느와르에서 ‘괴도’ 장르로의 장르 변동이자, 가부장 권력에 저항하는 여성 주체화 서사에서 ‘억울하게 부정당한 가부장(아비)의 명예를 되찾는 아들의 가족 로망스’로의 변동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meaning of “Squid Game” is not only triggered by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r marketing strategies of the original drama, but also by the encounters and emotions of various actors involved in text production, reactions, and emotions. Through this process of affective encounter, the sub-sense of meaning surrounding the text has been created and is still being created. This assemblage is also an arrangement of struggles and contention encountered by heterogeneous or sometimes hostile interpretations and political directions. This study approaches the interpretation of the “Squid Game” as a problem of affective politics that arises between the simplicity of text and the complex system of biomediated bodies intervening in the generation of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is is linked not onl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Squid Game” but also to the analysis of the unique affective politics of a platform called Netflix. Netflix is based on a system that recommends works based on the user's associated response, and the operating system itself modulates the user's emotions. Jeongdong coordination is not only a system but also a major feature of Netflix content, especially text that has recently risen to the top. This study does not aim only at interpreting the Squid Game. “Squid Game” is an example of the process in which the “Me Too Era” was transferred to content and became the dominant flow in the global cultural industry market, and how the exclusions and reactions to it are formed in content production. In other words, it is an example of a transnational anti-feminist backlash trend. The global feminist trend, symbolized by “Me Too,” has brought about a major change in the production of literature and cultural texts. In particular, the cultural trend of criticizing gas lighting and exclusing gas lighting narratives as female-subjected narratives has become a global tren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se narratives were also called domainic noir. Netflix has also become a major platform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domainic noir according to the context of each region. Domestic Noir was also a narrative style that fits Netflix's service and viewing style very well. “Squid Game” exclusively introduced the globally popular DOMESTIC NOIR as a game narrative of a middle-aged male Gajang, trapped in a closed control environment. In this narrative appropriation process, the negative reaction to feminism is also composed of narrative units. As a basic work to examine transnational anti-feminist backlash and changes in Korean content,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viewing pattern of transnational television viewing and the politics of affect surrounding the Squid G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