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조성 신앙 재검토 (Revisiting the Beliefs Behind the Creation of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8
28P 미리보기
&lt;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gt;의 조성 신앙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8권 / 35 ~ 62페이지
    · 저자명 : 박수진

    초록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造四⾯佛像, 보물)>은 높이 약 3.3m의 자연암석 4면에 8구의 불·보살상이 부조, 환조, 선각의 기법으로 조각되어 있고, 그 크기 또한 다양하다. 특히 서면의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다른 3면에 비해 월등히 크고 강조되었고, 경덕왕대 아미타 관련 사료와 조상들이 집중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사면불상에서 아미타신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8세기 아미타신앙의 우세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길 수 있는지, 불상의 서면은 왜 강조된 것처럼 크게 표현하였는지에 대해 특정 신앙의 유행이 아닌 불상이 조각된 자연암석의 공간과 배치라는 관점에서 해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각 존상들을 살펴보면 8세기 전반에서 중엽 조성된 상들과 양식을 공유하고 있어 조성시기는 719년 <감산사 아미타여래입상>, <감산사 미륵보살입상> 보다는 늦고, 751년 <석굴암> 본존상보다는 이른 8세기 전반으로 판단했다. 또한 8구의 존상들은 동시 계획 하에 조성된 것으로 조성 순서에는 큰 시기 차이는 없다고 여겨지는 데 이는 석주형 사면불상이 봉안된 전각에서 불상의 주위를 돌면서 예경하는 요잡의 공간과 관련된 것이다.
    8세기 신라에서 아미타신앙과 함께 다양한 신앙이 전개된 만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에도 아미타신앙, 변화관음신앙, 약사신앙과 같이 여러 신앙의 대상이 표현되었다. 조각의 방법 및 크기가 다양한 이유는 자연암석의 생김새를 인위적으로 변형하지 않고 최대한 있는 그대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산의 능선으로 인해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진입로는 서쪽으로 마련되었고, 산을 오른 예배자들은 가장 먼저 서면을 마주했을 것이다. 이러한 예배자의 시선, 자연암석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 조각가의 의도 등을 고려한다면 서면에 조성되는 불상은 다른 면보다 크게 조성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8세기 전반 유행하였던 다양한 신앙들의 총집합체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한 의도에 따른 결과로 서면이 강조된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해석했다.

    영어초록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慶州 掘佛寺址 ⽯造四⾯佛像, Treasure) is a 3.3-meter-high natural rock with eight Buddha and Bodhisattva statues on four sides, carved in relief, Vollplastik, filigree techniques, and varying in size. In particular, the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n the west side is much larger and more pronounced than the other three sides. It is known to represent the Amitabha belief in Buddhas in four directions from the fact that discoveries of Amita-related texts and statues are concentrated in the period of King Gyeongdeok.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n explanation about whether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can be considered a work that shows the dominance of Amitabha belief in the 8th century and about the reason why the west side on the Buddha statues was emphasized as large as it w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and arrangement of the natural rock on which the Buddha statues were carved, rather than the prevalence of a particular belief.
    An examination of the statues of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reveals that they share a style with statues dating from the early to mid-eighth century, suggesting that they were constructed around the mid-eighth century, later than the standing stone Buddha of Gamsansa Temple and the Maitreya statue of Gamsansa Temple made in 719, and earlier than the main Buddha of Seokguram made in 751.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eight statues were created under a simultaneous pla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quence of creation. The statues are supposedly related to the space of the ceremony of walking and worshipping around Buddhas which are enshrined in a house for the stone-typ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s various faiths developed alongside Amitabha in Silla in the 8th century,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represented multiple faiths such as Amitabha, Avalokiteshvara Belief, and Bhaisajyaguru Belief. There are various carving methods and sizes because natural rock formations were utilized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rtificially altering them. Due to the mountain ridge’s shape, the approaching route to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was located to the west, and worshippers who walked up the mountain would have met the west side. It may have been from consideration of the viewpoint of the worshippers and the sculptor"s intention to make the most of the natural rock that the statue on the west side was larger than the other sides.
    The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therefore, can be seen as a synthesis of the various faiths in vogue around the middle of the eighth century. The seeming emphasis on the west side can be interpreted as a testament to the sculptor’s ingenuity in utilizing space effici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