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형문화재의 영상민속지 기록화 작업의 특징과 문제점-중요무형문화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영상민속지 작업을 중심으로- (The Properties and Problems of the Process of Recording Visual Ethnographi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0.12
41P 미리보기
무형문화재의 영상민속지 기록화 작업의 특징과 문제점-중요무형문화재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영상민속지 작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43호 / 379 ~ 419페이지
    · 저자명 : 이상현

    초록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의 영상기록화 사업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안동의 하회탈놀이 영상기록 특히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제작 의뢰한 영상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본 영상민속지의 구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영상민속지에 대한 개념 정의를 시도하였고 분석틀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큐멘터리영화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하회탈놀이 영상민속지를 분석한 결과 본 영상민속지는 하회탈놀이를 구성하고 있는 6개 마당을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으로 제작 편집하였고 특히 연희자, 탈놀이의 움직임 그리고 탈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영상 기록하였다. 반면에 하회탈놀이의 일부 과정이 생략되거나 관찰자의 입장으로 촬영 대상만을 촬영하여 연희자의 입장이 반영되는 카메라 시선이 거의 활용되지 못한 한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영상민속지 작업에 참여한 영상전문가들은 인터뷰 혹은 자막 등의 다양한 영상 편집 기술을 응용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도 본 연구에서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탈놀이의 역사와 변천과정에 대하여 주로 연구하였던 민속학적 연구에서 벗어나 기존 민속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영상으로 담았던 영상민속지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한정된 사례만을 분석하였고 더구나 하회탈놀이를 영상에 담은 여러 영상민속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하회탈놀이를 영상으로 기록한 다양한 영상민속지에 함축되어 있는 원형의 의미 그리고 각 영상 자료에 함축되어 있는 원형의 표현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존 민속학 혹은 영상학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는 데 근거를 찾을 수도 있지만 차후 연구를 통하여 보완할 계획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has been composed for the analysis of properties and problems of businesses that visual record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To achieve this, the visual records of the Andong Hahoe Mask play and especially the production of visual data as requested by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have been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Also, in order to analyze this visual ethnography in detail,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based on the visual ethnography has been attempted, and a method of analyzing documentary films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construct an analytical fram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ethnography of the Hahoe Mask play through this process, this visual ethnography has produced and edited a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six episodes that accommodate the Hahoe Mask play, and the visual records especially of the movement of the mask play and theatrical entertainers, as well as the mask have been made. On the other hand, many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including the restrictions of not fully using camera views that reflect the standpoint of the theatrical entertainer, as the play has only been filmed in the standpoint of the audience, or that certain processes of the Hahoe Mask play has been omitted. However, this study has also revealed that visual professionals who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this visual ethnography are showing effort in the resolution of these problems by applying various visual editing techniques, as interviews or subtitles.
    This study is judged to have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it has analyzed the visual ethnography visually containing research results of existing folk scholars, breaking from folklore studies that have mainly studied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history of the existing mask play. Even so, only certain cases have been analyzed, and moreover, the many visual ethnographies that visually consist of the Hahoe Mask play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Due to these restrictions, it may receive criticism of the lack of analysis of the expressive methods of the archetype implied in each visual data, and the meaning of the archetype implied in various visual ethnographies, which visually record the Hahoe Mask play. Such problems may be resolved by searching for the evidence that there have virtually not been any debate on the matters in existing folklore or visual studies, however the problems are to be corrected through future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