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지역축제 플랫폼의 매체적 수행성과 연극학적 의미 : 뮤지컬 단막극 <아부지, 아버지> 사례 분석 (Media Performance and Theatrical Meaning of Online Local Festival Platform : A Case Analysis of the Musical One-act Play )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05
15P 미리보기
온라인 지역축제 플랫폼의 매체적 수행성과 연극학적 의미 : 뮤지컬 단막극 &lt;아부지, 아버지&gt; 사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기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기예술연구 / 26권 / 2호 / 85 ~ 99페이지
    · 저자명 : 이광용, 이진경

    초록

    공연예술형태는 정해진 장소에서 무대와 관객이 만났을 때 극이 이루어지는 현장성에 주목하며, 특히 지역축제의 공연작품은 현장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손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코로나시대의 상황 속에서 대다수의 지역축제들은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한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방식의 매체융합 공연예술형태의 연극학적 정체성과 그 의미를 뮤지컬 단막극 <아부지, 아버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무대구조는 극단적인 캐릭터의 대비와 갈등의 서사를 재현시키는 공간성을 스토리의 이미지로 극대화 시키고 영상과 조명을 활용한 장면의 전환을 비언어적 표현으로 관객들이 공연을 관람함에 있어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무대와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의 형상화를 통해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 구조 속에서 나타나는 시선과 상호작용은 플랫폼에서 바라보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마주하게 하여 무대행위와 서사행위의 재현으로 공연예술형태의 현장성을 완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우와 관객의 소통과 공존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무대의 현장성를 이루고 극을 완성하였으며, 매체를 통한 연극의 수행성 미학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대안으로 마련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공연예술형태이지만, 이것을 이 코로나시대의 대안으로서만 사용할 것이 아니라 향후 대면의 지역축제 공연에서 다양한 상황으로 대면 참가가 어려운 더 많은 관람객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적 구분으로 극의 제한을 넘어 다양한 공간의 매체를 통해서 출연진과 관람객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연을 만들고 축제를 완성함으로써 공연예술의 범주를 넓히고 수행성의 미학을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온라인 플랫폼 매체의 시스템을 공연예술형태의 매체융합으로 정체성을 확립시키고 지역축제의 문화예술분양의 방향성과 기반 마련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영어초록

    The performing art form pays attention to the on-the-ground nature of the play wh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meet at a fixed place. Especially the public performances of local festivals. A series of works can be count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on-the-ground work. However, in the ongoing Corona era, most of the local festivals are being conducted non-face-to-face or in a way that combines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using online platforms. The stage structure maximizes the spatiality of reproducing the contrast of extreme characters and the narrative of conflict as the image of the story, and the transition of scenes using video and lighting is a non-verbal expression to enhance readability for the audience to watch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gaze and interaction appearing in the conflict structure between the characters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tage and the characters face the gaze of the audience looking from the platform, thereby reproducing the stage action and the narrative action, the realism of the performing arts form. Although it is a form of performing art using an online platform that has been prepared as an alternative due to the coronavirus, this will not be used only as an alternative in this corona era, but in the future, in the future face-to-face local festival performances, more spectators who are difficult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participation will participate in various way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performing arts and develop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by creating a performance that the cast and spectators make together through the medium of various spaces and completing the festival, going beyond the limits of the play by spatial division. In addition,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online platform media system through the media convergence of the performing arts and to prepare the direction and foundation for the culture and art sales of local festiv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기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