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역사지리에 대한 인식과 유득공의 『사군지』 (People’s view of Historical Geography in the 18th century’s latter half, and Yu Deuk-gong’s Sagun-ji (四郡志))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06
28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역사지리에 대한 인식과 유득공의 『사군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현실 / 124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김현정

    초록

    이 연구는 『사군지(四郡志)』를 통해 정조대 역사지리 인식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유득공의 『사군지』(1801 이후)는 『발해고(渤海考)』(1784)와 더불어 조선후기 역사지리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유득공이 정조대 규장각 검서관이자 연행 경험을 가졌다는 것만으로는 『발해고』와 『사군지』의 집필동기가 전부 설명되지 않는다. 조선의 지리와 역사에 대한 고민이 보이는데도, 기존 연구는 그가 ‘고(考)’와 ‘지(志)’, 그리고 ‘사(史)’를 어떻게 구분했는지를 간과해 왔다.
    유득공은 『발해고』를 역사서로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고(考)’라고 했고, 15여 년 뒤 사군(四郡) 관련 저술을 ‘지(志)’라고 했다. 조선후기 사(史)를 지향하던 관점에서 고(考)와 지(志)는 부족함을 지니거나 사(史)의 하위 분류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조대 전국지리지 편찬 사업(1788)은 이러한 분위기를 바꿔놓았다. 정조는 지리지도 사(史)를 드러내는 또다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유득공이 『사군지』를 저술할 때에는 『발해고』처럼 ‘부족한 사(史)’라고 여기지 않아도 되었다. 지(志) 자체를 사(史)의 또다른 형태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로 볼 때, 18세기 후반 정조의 전국지리지 편찬은 미완의 사업으로 끝난 게 아니었다. 그 사업이 추구한 방향은 다양한 형태로 조선의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유득공의 『사군지』였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 perceived the concept of Historical Geography -and its nature as an academic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through Yu Deuk-gong’s Sagun-ji(四郡志) as an example. Sagun-ji(1801, or later), alongside Balhae-go(渤海考, 1784), is an extremely important achievement in the Historical Geography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s latter half. However, the reason for his authoring both Balhae-go and Sagun-ji in the first place has never been explained satisfactorily. The fact that he served as a Geomseo-gwan(檢書官) official at the Gyujanggak(奎章閣) Academy, and once traveled to the Chinese Capital at Beijing(Yeon’gyeong, 燕京), is simply not enough. He was apparently very engaged in studying Joseon’s geography and its history, yet previous studies never paid enough attention to how he distinguished ‘Examination(考, Go)’ from ‘Treatise(志, Ji)’, and those two from ‘History(史, Sa).’ As he was not able to complete Balhae-go as a ‘History book,’ Yu Deukgong had to label it as an “Examination(考).” Then roughly 15 years later, he called his own writing of the Four Commanderies(四郡, Sagun) as a ‘Treatise(志).’ Compared to the level of ‘History(史),’ which intellectuals of the time were all aspiring to achieve in their works, ‘Examination(考)’ and ‘Treatise(志)’ were rather Sub-categories of ‘History,’ lacking certain qualities which would –if present- elevate them(考・志) to the level of a true History book. A publication project, however, which intended to compile a dynasty-wise Geography Manual(Jiri-ji, 地理志) launched during King Jeongjo’s reign (1788) completely changed the atmosphere, as well as certain previous notions. Jeongjo believed that Geography Manuals were also another form of ‘History(史).’ Yu Deuk-gong as well, while writing Sagun-ji, did not consider the result of his studies as some kind of inferior form of writing compared to History, as he did at the time of authoring Balhae-go. To him in this time around, unlike when he was writing Balhae-go, ‘Ji(志, Treatise)’ was just another form of ‘Sa(史, History).’ And that is why he labelled it Sagun-ji.
    In that sense, Jeongjo’s efforts to compile a dynasty-wise Geography Manual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not an unfinished task. The direction it took indeed affected and inspired the Joseon society’s cultural atmosphere in a variety of ways, and one of the results was apparently Yu Deuk-gong’s Sagun-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