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카테터 집락화가 없는 지속성 캔디다혈증의 위험인자와 예후 (Risk Factors and Prognosis for Persistent Candidemia without Catheter Colonization)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1.08
6P 미리보기
카테터 집락화가 없는 지속성 캔디다혈증의 위험인자와 예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감염학회
    · 수록지 정보 : Infection and Chemotherapy / 43권 / 4호 / 349 ~ 354페이지
    · 저자명 : 채윤태, 정수진, 구남수, 백지현, 김혜원, 김선빈, 윤지현, 진성준, 한상훈, 송영구, 김준명, 최준용

    초록

    Background: Candidemi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osocomial bloodstream infection, and increases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of seriously ill patients. We evaluated the risk factor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without catheter colonization (non-catheter related candidemia)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non-persistent candidemi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and outcomes of, persistent candidemia. All adults who experienced candidemia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Korea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9 were included.
    Patients with catheter colonization were excluded. Persistent candidemia wa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candidemia in a patient receiving at least 3 days of systemic antifungal agents prior to the second positive blood culture.
    Results: Of 605 adult patients with candidemia, 104 (17.2%) patients had persistent candidemia and 23 (3.8%) patients were free of catheter coloniz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ersistent and non-persistent candidemia. In univariate analysis, less use of metronidazole, glycopeptide, fluoroquinolone, and aminoglycoside, and presence of Candida parapsil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In multivariate analysis, less use of metronidazole was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The candidemia related mortality was insignificantly (P =0.094) higher in persistent candidemia than non-persistent candidemia.
    Conclusions: Persistent candidemia can occur without catheterization. Patterns of antibiotic use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persistent candidemia,and prognosis of persistent candidemia seems to be worse than non-persistent candidemia. Further studies for persistent candidemia should be performed.

    영어초록

    Background: Candidemi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nosocomial bloodstream infection, and increases the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of seriously ill patients. We evaluated the risk factor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without catheter colonization (non-catheter related candidemia)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of non-persistent candidemia.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and outcomes of, persistent candidemia. All adults who experienced candidemia in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Korea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9 were included.
    Patients with catheter colonization were excluded. Persistent candidemia was defined as the occurrence of candidemia in a patient receiving at least 3 days of systemic antifungal agents prior to the second positive blood culture.
    Results: Of 605 adult patients with candidemia, 104 (17.2%) patients had persistent candidemia and 23 (3.8%) patients were free of catheter coloniz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persistent and non-persistent candidemia. In univariate analysis, less use of metronidazole, glycopeptide, fluoroquinolone, and aminoglycoside, and presence of Candida parapsilosi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In multivariate analysis, less use of metronidazole was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persistent candidemia. The candidemia related mortality was insignificantly (P =0.094) higher in persistent candidemia than non-persistent candidemia.
    Conclusions: Persistent candidemia can occur without catheterization. Patterns of antibiotic use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persistent candidemia,and prognosis of persistent candidemia seems to be worse than non-persistent candidemia. Further studies for persistent candidemia should be perfo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Infection and Chemotherap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