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상관법이 장애가족을 가진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on Depression of A Middle-aged Lady with A Disabled Family Memb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5.06
28P 미리보기
영상관법이 장애가족을 가진 중년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2호 / 547 ~ 574페이지
    · 저자명 : 신정란

    초록

    영상관법은 과거의 경험 중에서 미해결된 부분의 장면(영상)을 의도적으로 떠올려 그대로 재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의 현행과 관련된 특정한 영상을 떠올려 그것을 존재하는 그대로 재 경험하여 마음 현상을 통찰하는 것이다. 영상관법의 목표는 궁극적인 본성, 본래적인 진실을 회복하는 것으로 본래의 진실을 깨닫게 하여 근본적으로 번뇌(고통)를 없애는 과정이기 때문에 임상에서 심리적인 장애를 치료하는 심리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관법은 내담자의 고통과 우울을 감소시키고 본질에 대한 통찰을 이끌어 내어 궁극적인 본성, 본래적인 진실을 회복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교 유식에 근거한 영상관법이 장애가족을 돌보고 있는 중년여성의 만성화된 우울증에 대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불교의 사성제(四聖諦)에 기반을 두어 심층 상담한 자료에 근거하여 사례연구방법으로 기술하였다. 본 상담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1월까지이며 추후상담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 6개월간 이루어졌다. 본 연구가 장애가족을 돌보고 있는 중년여성의 우울을 이해하고 현실적인 지원의 준거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유식불교에 기반을 둔 영상관법이 효과적인 심리치료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is to intentionally recall and re-experience scenes (images) of unsolved past experiences. The meditator recalls a certain image related to the current state of the seed that is saved in the Alaya-vijnana, re-experience the image such as it is, and see through the mental state. The purpose of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is to recover the ultimate nature and the essential truth and remove the agony (pain) fundamentally by making the meditator to realize the original truth. That’s why it can be applied to psychotherapy clinically to treat mental disorders. Therefore,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is utilized as a useful tool to recover the ultimate nature and essential truth by reducing patients’ pain and depression and drawing the insight about the real natu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at effect the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ion of vijanpti-matrata buddhism has on the depression of a middle-aged lady who takes care of her disabled family member. It analyzed the in-depth interview data based on the Four Noble Truths of Buddhism, and described it in the form of a case study. The counselling was provided from November 2013 to January 2014, with the follow-up counselling for six month ― August 2014 to February 2015.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a standard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ally supporting middle-aged ladies suffering depressions, taking care of their disabled family members. Furthermore, it aims to present that Image-Based Mindfulness Meditation of vijanpti-matrata buddhism can be an effective psychotherapy instr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