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지영 소설에 나타난 ‘신경증적 욕구’와 ‘선택’의 문제 (Problems of 'Neurotic desire' and ‘Choice’ in Gong Ji-young’s novel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8.01
40P 미리보기
공지영 소설에 나타난 ‘신경증적 욕구’와 ‘선택’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46권 / 181 ~ 220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혜

    초록

    본고는 그간 페미니즘의 자장에서 읽혀온 공지영의 세 작품 <사랑하는 당신께>(1993),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1998), <착한 여자>(2002)를 중심으로 ‘신경증적 욕구’가 어떠한 사고패턴을 만들어 내고 어떠한 ‘선택’을 하도록 하는지 정신분석학적으로 살펴보았다. 근래의 뉴스를 통해 접하는 다양한 사건, 사고의 여자 주인공들, 신문이나 인터넷의 상담 코너에 올라오는 지나치게 희생적이고 양보하는 여자들, 상대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해 자기 마음이 원하는 것과 반대의 것을 선택하고 마는 이야기들이 공지영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여자 주인공들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주로 페미니즘이라는 틀에서만 평가되어 온 공지영 소설을 신경증적 관점에서 새롭게 읽어볼 필요를 느꼈기 때문이다.
    공지영 소설들에는 모두 지고지순한 사랑과 맹목적 헌신을 하는 여주인공이 등장하며 이러한 ‘착한 여자’들이 ‘나쁜 남자’를 만나 고통을 당하는 플롯을 보여준다. 공지영 소설의 이러한 면은 그간 신파와 통속성으로 비판받아왔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이러한 인물설정과 플롯은 ‘신경증적 욕구’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이 여성 주인공들은 모두 어릴 때의 상처와 수치심으로 이상화된 자아상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상화된 자아상은 이상과는 다른 것으로 자신감을 대체하는 방어기제와 같은 것이다. 이것은 소설에서 ‘착한 여자’, ‘성녀’, ‘순교자’와 같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들은 전도된 가학증으로 착취와 학대를 당해도 이를 학대라고 제대로 인식을 못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자책하며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한다. 또한 ‘운명’이라는 수사와 자기경멸의 외현화는 자기 자신과 타인에게서 소외되도록 한다.
    공지영 세 소설의 여주인공들은 ‘하나의 선택’만을 고집하면서 ‘특정 서사에 고착되어 파국을 맞는 경우’와 ‘자기서사가 변화면서 새로운 길 내기를 하는 경우’를 보여주면서 자기서사를 변화시키는 동력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이 소설들의 담론 방식은 독자가 ‘자기서사’와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하여 현재의 자기 서사는 특정한 ‘선택’을 한 결과이고, 그 ‘선택’을 한 이면에 어떤 무의식적 동기가 작용하는지를 통찰하도록 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Gong Ji-young's three works, Dear My Love(1993), Going Alone like a Horn of Silence(1998), and Good Woman(2002) to psychoanalytically examine the thought patterns that the protagonists' 'neurotic desire' made and their 'choices'. These are stories involving the latest various events that we encounter through news. The victims of those accidents and the over-sacrificial and concessive women who appear in the consultation corner of newspapers or the Internet are similar to the female characters that repeatedly appear in Gong Ji-young’s novels. So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read these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which hitherto have been evaluated only in the context of feminism.
    Gong Ji-young’s novels portray heroines who make sublime love and show blind devotion, and plots that 'good girls' meet 'bad men'. This aspect of her novels has been criticized for its trivialism and melodramatic mode. But those characters and plot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can only be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tic desire'. These heroines create an illusory and idealized self-image out of childhood trauma and shame. The illusory self-imag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ideal', is like a defense mechanism that replaces self-confidence. This is shown as a 'good girl', 'saint', and 'martyr' in the novel. In addition, they do not realize that they are manipulated and abused because of inverted sadism, but rather reproach themselves, making the extreme ‘choice’ of suicide. Also, the rhetoric of ‘destiny’ and the externalization of self-contempt isolate themselves from the real self and others.
    The heroines of Gong Ji-young’s three novels demonstrate opposing narratives. When they choose their own changing narratives, they can make the road for their changes, which get them to realize they have the power to change. On the contrary, as they choose to “stick to a particular narrative, even when there are possibilities for change, they come to destroy themselves.”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otives behind their actions. The discourse of these novels has resulted in readers securing “a distance” from the dominant narrative in these novels. This paper explores the idea that the self-narrative of the female protagonist is the result of a specific “choice,” and offers insight into the unconscious mot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