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디자인에서 택티컬 어버니즘 활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e and limitations of tactical urbanism in public desig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5.06
14P 미리보기
공공디자인에서 택티컬 어버니즘 활용과 한계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20권 / 4호 / 85 ~ 98페이지
    · 저자명 : 전성숙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택티컬 어버니즘은 기존 고비용·대규모 도시계획이 지니는 한계성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비교적 적은 자본을 이용하여 도시의 일부 지역을 임시적·한시적으로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지속적인 도시 변화를 꾀하는 방식으로, 장기적인 정책을 세우기 전 효과성을 미리 검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재생이라는 패러다임 전환과 맞물려 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의 영역에서 택티컬 어버니즘이 어떻게 활용될수 있는지와 현재 택티컬 어버니즘이 함의하는 특징적 한계들을 극복하는 방법을 탐색한다. (연구방법) 먼저 택티컬 어버니즘의개념, 도시계획 이론으로의 탄생 배경, 현재의 연구동향 및 실천동향 등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다음 실제 활용유형과 실태를 고찰하여 그 특징과 한계점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택티컬 어버니즘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공디자인의 영역에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결과) 현시점에서 택티컬 어버니즘의 효용을 경감시키는 한계는 크게 세 가지로정리할 수 있다. 첫째, 택티컬 어버니즘에 대해 아직 부족한 이해도와 인식의 한계점이다. 지역 축제 또는 팝업 행사와 구분하지못한다면 사업을 통해 기본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 둘째, 활동 원동력의 한계가 있어 자발적인 시민참여가 뒷받침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오직 민간활동가에게 책임과 진행이 이양된다면 사업의 바람직한 환류가 어렵다. 셋째, 행정지원의 한계이다. 공공의 컨트롤 타워가 없이는 택티컬 어버니즘 활동이 손쉽게 불법행위로 여겨지게 된다. 택티컬 어버니즘이 도시에 잘 활용된다면 공간마스터플랜의 중요한 참고안이 될 수도 있으나, 현재 이러한 한계점들로 인해 제약을 갖는다. (결론) 본질적으로 시민 참여행위를 전제로 하는 택티컬 어버니즘은 공공디자인 영역이 추구하는 시민참여 취지와 구조적으로 잘 맞물린다. 그러나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념 정립 및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제도적 협조체계 구축, 지속 가능한 실천 기반 마련 등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공공디자인법과 조례의 정비는 도시전술 실천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유관 부서 간 협업을 유도하는 기초 장치로 작용할 수 있다. 택티컬 어버니즘은 도시공간의 중장기적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시행착오의 과정이다. 이 실험적 시도에 시민의 참여와 실천 행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뤄지길 바란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actical urbanism is gaining attention as a way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high-cost, large-scale urban planning. It is a way to temporarily and temporarily utilize some areas of the city with relatively little capital to ultimately achieve sustainable urban change, and it is possible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advance before establishing long-term policies.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its potential have begun recently in conjunction with the paradigm shift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tactical urbanism within public design and explores strategies to address its inherent limitations. (Method) First,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tactical urbanism, its emergence within urban planning discourse, and current trends in related research and practice.
    Subsequently, actual implementation types and usage conditions were analyzed to derive implications regarding its characteristics and constraints. Improvement directions within the public design domain were then proposed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actical urbanism. (Results) Currently, the limitations hindering the effectiveness of tactical urbanism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First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s; without a clear distinction from local festivals or pop-up event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initiative becomes difficult to achieve. Second is the limited momentum of activities, which challenges the sustainability of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If responsibilities are delegated solely to private actors, achieving a desirable feedback loop becomes difficult. Third is the issue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absence of a public control tower, tactical urbanism activities risk being perceived as unauthorized or unlawful.
    Although tactical urbanism has the potential to inform urban master plans, its practical utility remains constrained by these limitations. (Conclusions) Tactical urbanism, which inherently relies on civic participation, aligns structurally with the participatory aims of the public design field. Nevertheless, to address the present limitations, effort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concept, improve public awareness, establish institutional cooperation systems, and develop a sustainable foundation for ongoing practice. In particular, revising public design laws and ordinances can serve as a foundational mechanism to institutionalize tactical urbanism and foster interdepartmental collaboration. As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aimed at promoting mid- to long-term spatial transformation, tactical urbanism calls for continued civic engagement and iterative practice to achieve meaningful and positive outco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