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리즈 콩데의 『행복을 기다리며 En attendant le bonheur』 : 식민시대와 탈식민시대의 폭력과 대항폭력, 그리고 글쓰기 (En attendant le bonheur de Maryse Condé: Violence et Contre-Violence de l’Êpoque coloniale et postcoloniale, et Ecritur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3.08
29P 미리보기
마리즈 콩데의 『행복을 기다리며 En attendant le bonheur』 : 식민시대와 탈식민시대의 폭력과 대항폭력, 그리고 글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 / 85권 / 36 ~ 64페이지
    · 저자명 : 이가야

    초록

    마리즈 콩데가 1976년에 발표한 작가의 첫 작품, 『행복을 기다리며(에레마코농)』는 프랑스로부터 막 독립한 한 아프리카 국가에서 벌어지는 정치및 사회적 혼란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설이다. 과들루프 출신 여주인공 베로니카는 이 나라에 자신의 뿌리를 발견하고자 철학 교사로 오게 되지만, 불안정한 사회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고 부유한다. 그녀가 그곳에서 대면하는 것은 자신의 뿌리가 아니라 쉼 없는 폭력과 대항 폭력의 대립이다. 본 고는 폭력으로 얼룩진 역사 속에는 언제나 대항 폭력이 등장할 수밖에 없음을 설파했던 프란츠 파농의 이론에 기대어 텍스트를 분석한다. 우리는 아프리카에서 식민시대부터 시작된 폭력과 대항 폭력이 탈식민시대에는 어떤 양상을 보여주는가를 살펴본다. 작품 속 주인공 베로니카는 결국 글쓰기라는 자신만의 방법을 통해 폭력의 고리에 종지부를 찍을 것을제시한다.

    영어초록

    En attendant le bonheur (Heremakhonon) est un roman de Maryse Condé, qui a publié en 1976, raconte les troubles politiques et sociaux d'un pays africain qui vient d'accéder à l'indépendance de la France.
    L'héroïne Véronica guadeloupéenne vient dans ce pays en tant que professeur de philosophie pour découvrir ses racines, mais est incapable de trouver sa place dans cette société chaotique. Elle n’y peut pas découvrir ses racines, mais rencontre la violence et la contre-violence incessantes.
    Muwalimwana, qui est devenu le président du pays, était à l'origine un cheminot qui organisait des syndicats et menait des grèves contre les colons à l'époque coloniale, mais règne maintenant en dictateur et opprime le peuple. Quand le peuple s'est rebellé contre la dictature, il utilise sans hésitation la violence contre le peuple. Véronica, la narratrice et la protagoniste, est également exposée personnellement à la violence causé par le lien amoureux d’Ibrahima Sory, le ministre de la Défense et de l’Intérieur. Nous examinons ainsi à quel aspect de la violence personnelle de Véronica se rapporte à la violence sociale.
    Cet article analyse le texte à partir de la théorie de Franz Fanon, qui prêchait que la contre-violence doit toujours apparaître dans une histoire teintée de violence. En examinant ce que les aspects de la violence et de la contre-violence qui ont commencé à l'époque coloniale montrent à l'ère post-coloniale, il est révélé que la chaîne de la violence se poursuit sans interruption. Veronica propose finalement de mettre fin au cycle de la violence grâce à sa propre méthode d'écri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