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의 민주주의와 1960년: 시미즈 이쿠타로(清水幾太郎)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Democracy in Japan and the 1960)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09.09
25P 미리보기
일본의 민주주의와 1960년: 시미즈 이쿠타로(清水幾太郎)와 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8권 / 2호 / 197 ~ 221페이지
    · 저자명 : 노병호

    초록

    미일간에 1951년에 체결된 안전보장조약을 개정하려는 일본정부의 움직임에 반대하는 대중운동이 1960년에 정점에 달했다. 이때의 대중운동에 참여한 대표적인 지식인으로 시미즈 이쿠타로와 마루야마 마사오가 있다. 패전이후 시미즈는 마루야마로부터‘오야붕’이라고 인식될 정도로 둘의 관계는 친밀했고 사상적인 거리도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안보투쟁의 과정에서 둘의 괴리는 점점 커져간다. 마루야마는 이념과 규범으로서의 <민주주의>가 안보투쟁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신안보조약이 체결됨으로 인해서 운동자체는 실패하였지만, 민중이 스스로의 행동을 통해서 국민주권의 문제를 스스로 혈육화해 갔다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운동은 성공적이었다라고 보고있다. 이에 반해 시미즈는 안보반대운동은 추상적인 민주주의에 매몰되어 구체적인 운동의 목표를 상실하였기 때문에 결국 실패로 끝났다고 생각한다. 시미즈에 있어서 안보투쟁은 끝까지‘안보조약반대’를 관철했어야 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축적하는 것이야말로 민주주의의 진정한 의미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대립에도 불구하고 안보투쟁이후의 양자의 행적은 한쪽이‘일본정치사상사’의 특수성으로 매몰되었고, 다른 한쪽은 민주주의 혹은 근대 그 자체를 상대화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 이러한 결과에 이르는 원점으로서 안보투쟁당시의 민주주의론을 검토하는 작업은, 1)일본의 민주주의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2)민주주의 자체의 보편성을 묻기 위한, 3)민주주의의 필요충분조건을 확인하기 위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1960, the mass movement, which opposed the negotiation to revise Treaty of Mutual
    Cooperation and Secur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1951, rose to a height. Two
    representative inetellectuals, who had leaded this mass movement, were Shimizu Ikutaro and
    Maruyama Masao. The two was so familiar in the human and intellectual relation that Shimizu had
    been thought as ‘oyabun’ by Maruyama until the 1950s after the war.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ad been enlarged in the midst of the anti-treaty movement.
    Maruyama thought that ‘democracy’ as idea and principle should be the main in the anti-treaty
    movement. Therefore, Maruyama thought that, though the movement itself ended in failure with the
    conclusion of a new treaty, it was a success in materializing soverign power by the people themselves’
    action. On the other hand, Shimizu thought that it was failure because the anti-treaty movement was
    buried under the abstract democracy and lost concrete goal of the movement. Shimizu thought that the
    anti-treaty movement should have accomplished ‘the setback of the anti-treaty’. The real democracy
    to him was the attainment and accumulation of one’s goal.
    Regardless of this oppositive views, the two’s works after the anti-treaty movement were the
    similar. That is to say, the one was entombed in ‘the history of Japanese thoughts’ and the other was
    inclined to relativize democracy or modern itself. I think that it is so meaningful to analyze the
    dicourses of democracy in the anti-treaty movement as the origin of the oppositive views. 1)In
    interpretating democracy in Japan, 2)in asking the universalty of democracy itself, and 3)in
    confirming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dem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