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의 축구 훌리건 영화에 나타난1970~80년대 캐주얼즈 하위문화의 패션 특성 (Fashion Characteristics of the Casual Subculture in the 1970s and 1980s Represented in British Soccer Hooligan Movie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23.09
21P 미리보기
영국의 축구 훌리건 영화에 나타난1970~80년대 캐주얼즈 하위문화의 패션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23권 / 3호 / 119 ~ 139페이지
    · 저자명 : 윤도연, 서성은

    초록

    본 연구는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하여 90년대까지 영국의 축구 팬덤 문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처음으로 디자이너 스포츠웨어 트렌드를 주도하였던 캐주얼즈에 관해 하위문화 패션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문헌 연구, 온라인 기사 및 영상자료를 통해 캐주얼즈의 유래와 하위문화적 특성을 고찰하고, 패션 특성을 도출하였다. 스킨헤드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캐주얼즈는 영국 백인 노동자 계층의 훌리건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당시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유행을 선도하였다. 실증 연구는 캐주얼즈의 전성기였던 80년대 전후 영국의 캐주얼즈 하위문화를 다룬 영상 6편을 선정하여 패션이미지를 도출하고, 캐주얼즈 패션을 대표하는 브랜드에서 영화 속 실제 상품이미지를 함께 선별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총 36개의 이미지를 상의, 하의, 외투, 신발과 액세서리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주요 아이템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영화의 주요 내용과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캐주얼즈 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캐주얼즈 패션은 첫째, 80년대 전후 축구 훌리건의 새로운 드레스 코드이자 집단주의 동지애를 나타내는 유니폼으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캐주얼즈 패션은 당시 고가의 유럽 디자이너 스포츠웨어에 대한 선호가 반영된 뉴 테라스 웨어로 유럽 상류층의 물질주의와 스포츠 패션 문화에 대한 동경을 모방과 과시로 표현하였다. 셋째, 캐주얼즈 패션은 축구 팬덤 문화의 패션 트렌드 확산을 촉진한 최초의 하입 스포츠웨어로 단순한 운동복이 아닌 당시 이국적 취향의 세련된 스포츠웨어 스타일의 개발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70~80년대 주요 하위문화에 비하여 주목받지 못했던 캐주얼 하위문화를 패션 측면에서 살펴보고, 뉴 테라스 웨어로서 주요 특성과 의미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현대 스포츠 스트리트 패션을 이해하는데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뿐 아니라, 새로운 콘셉트 개발과 디자인 기획에 중요한 문화적 영감이 되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asual subculture as British football culture derived from the hooligan, investigated various literature and video materials on football culture in England from the late 1970s to the early 1990s. In particular, a total of 6 films dealing with the culture of football supporters in England around the 1980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casual subculture and fash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Six films made in the early 2000s express the British hooligan culture and social background very realistically in a detailed manner, and the casual subculture fashion that was popular at the time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produced. In this study, main design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brands that appeared in casuals fashion were derived by representative fashion items from the films and casuals clothing brand stores. Casuals fashion is a visible expression of the casual sprit showing the fellowship of the British football mania group, represents longing for materialism and sports fashion culture of the European upper-class, promotes spread of the fashion trend of football fandom culture, and gives an inspiration for modern sports street fashion.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casual subculture, which had not been recognized as a major subculture, in terms of fashion, and analyzed the major brands and style characteristics that established casuals fashion as a new terrace w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