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중․고 음악교과서에 수록된제주 민요 분석 (An Analysi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9.12
35P 미리보기
초․중․고 음악교과서에 수록된제주 민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57권 / 3호 / 121 ~ 155페이지
    · 저자명 : 신은주

    초록

    민요는 초․중․고 음악교육의 가창 부분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감상과 이론 영역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음악으로서 민요가 갖는 의미가 크고, 우리 전통 음악의 기저에서 여러 다양한 장르 음악의 뿌리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민요는 대체로 경기․남도․서도․동부․제주의 다섯 지역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달리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고, 초․중․고 음악교과서에서는 위 다섯 지역별로 가창 혹은 감상하기에 적절하면서도, 지역적 대표성을 띠는 민요가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주 지역의 민요는 가창 및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되고 있는 민요의 곡수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음악 특징에 대한 설명도 미비하고, 여러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가장 많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제주민요인 <너영나영>과 <오돌또기>는 육지 사당패소리의 영향을 받은 악곡으로, 제주 토속민요 특유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세 번째로 많이 수록된 곡인 <멸치후리는소리> 역시 제주 지역 토속민요 이기는 하나, 제주 전역에서 두루 불리던 소리가 아니라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소수의 사람들 사이에서만 불리던 민요이고, 제주에서 흔히 행하는 노동과 관련된 민요도 아니다. 즉,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소리> 모두 대표성 면에서 다소 문제가 있다.
    각 교과서에서 활용하고 있는 악보도 서로 다른 채보 악보를 활용하면서, 음구조를 다르게 파악하기도 하고, 특징적인 선율과 음을 간과하면서 곡의 분위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곡은 단순히 가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악보를 통해 이론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서로 다름은 교육에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향후 효과적인 제주 민요 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들을 제안한다.
    첫째, 민요의 서로 다름을 인정할 것인가, 교육을 위한 통일안을 마련할 것인가 논의해야 한다.
    둘째, 제주 민요에 대한 자세한 이론이 기술되어야 한다. 각 곡의 생성 배경에서부터, 분포, 유형, 기능, 음구조, 발성, 가창시 유의점 등이 정리되어,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 특유의 특색을 살피기에 적절하면서도, 가창이 용이한 다양한 악곡의 토속민요를 발굴해야 한다.
    넷째, 제주 지역 민요는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음구조로 제주 민요를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발성과 시김 등 다양한 제주 민요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Folk songs play a central role in the area of singing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is importantly approached equally in que area of appreciation and theory. It is because folk songs have a great meaning as music representing lives of common people and it serves as a root of a variety of music in the base of our traditional music.
    Different characteristics appear in our country’s folk songs divided into five regions of Gyeonggi, Namdo(the Southwest), Seodo(the Northwest), Dongbu(the East) and Jeju. As singing repertoires, folk songs are used because they are appropriate for singing or appreciation and have regional representativeness. However, folk songs of Jeju Island included in the textbook are conspicuously small in number as compared to songs of other regions, and they highly lack explanation of musical features.
    “Neoyoung nayoung” and “Odoltogi” are folk songs of Jeju Island most included in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 middle / high school and are influenced by songs of troop sung by strolling actors of the land. For this reason, there are limitations of exploring features of intrinsic folk songs of Jeju Island through these songs. The third most included song in music textbook entitled “Myeolchihurineun sori” or “anchovy net hauling song” is an intrinsic folk song of Jeju Island, but it was not sung at every corner of the island.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living in some specific areas sang this folk music and it is not related to works commonly practiced in Jeju Island. In other words, it is challenging to say that three songs above mentioned can represent as typical folk songs of Jeju Island.
    Sheet music in each textbook uses different music and interprets the mode in a dissimilar manner. Moreover, the general mood of the song varies due to omission of characteristic melody and notes. Folk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do not exist only for singing but theoretical learning is achieved through the songs. For this reason, difference in sheet music can cause confusion i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points for effective folk song education of Jeju Island for the future.
    Firstly, it is vital to discuss “do we have to admit differences of folk songs or do we have to prepare for a unified plan for edu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scribe detailed theory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It is required that theory of creation background, distribution, type, function, sound structure, vocalization and precautions while singing should be put in order for facilitating easy utilization for teachers.
    Thirdly, it is essential to discover folk songs with diverse music pieces, which are easy to sing and appropriate for representing particular characters of Jeju Island.
    Fourthly, since various modes are used in folk songs of Jeju Island, we encounter limitations of accounting for folk song of Jeju Island only with mo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of Jeju Island such as vocalization and “Sigimsae” or a grace no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