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 분석 (Reviewing the Seodo folk song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9.06
35P 미리보기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 / 47권 / 47호 / 35 ~ 69페이지
    · 저자명 : 이성초

    초록

    민요는 현재 음악교과서 내 국악 제재곡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장르로, 여러번의 개정을 거치면서 민요 제재곡의 악곡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서도민요는 다른 지역의 민요에 비해 교과서에 수록된 비중이 낮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와 2009 개정 교과서에 수록된 서도민요를 비교하여 어떤 내용들이 추가되고 바뀌었는지 살펴보았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에 수록된 서도민요는 각각 7곡으로, 2015 개정에서는 2009 개정에 수록된 <몽금포타령>, <해주아리랑>, <수심가>, <싸름>, <엮음수심가>, <풍구소리>, <금다래꿍>에서 <엮음수심가>가 제외되고 <자진배따라기>가 추가되었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모두 <몽금포타령>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해주아리랑>, <수심가> 순으로 악곡이 수록되어, 악곡별 수록횟수에 있어 큰 차이점은 없었다. 또한 2009 개정에 비해 2015 개정에서 서도민요의 비중이 조금 더 높아졌지만, 여전히 타 지역 민요에 비해 서도민요의 수록비중은 적은 편에 속한다.
    2009 개정에서 반수심가토리인 <몽금포타령>을 수심가토리로 오기(誤記)하거나 ‘레미솔라시’의 음계로 채보된 <금다래꿍> 악보를 수록하고 이를 수심가토리로 설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2015 개정에서는 다수의 교과서에서 <몽금포타령>의 음계를 ‘라도레미솔’로 표시하거나, 반수심가토리로 악곡을 설명하였고, ‘레미솔라도’의 음계로 채보된 <금다래꿍> 악보를 수록하여 이런 문제점을 보안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몇몇 교과서에서는 토리를 설명함에 있어, 잘못된 내용이 발견되고 있어 개선을 요한다.
    2015 개정에는 서도민요의 제재곡으로 <자진배따라기>가 새롭게 수록되었다. <자진배따라기>는 서해안 지역에서 불리던 <배치기소리>의 한 유형으로, 기존의 연구에서 이 악곡을 서도민요의 제재곡으로 수록할 것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에 <자진배따라기>를 수록한 점은 고무적이지만, 교과서별로 악곡명이 통일되지 않았고, 수록된 악보에 채보자 및 가창자의 정보가 정확히 기재되지 않은 점 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다.

    영어초록

    The folk song is the most popular piece of Korean music in current music textbooks. Music textbooks have undergone many revisions, and the number of folk song has increased.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roportion of Seodo folk songs in textbooks was lower than that of folk songs in other region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ontents of Seodo folk songs in the revised textbook of 2015 and the Seodo folk songs in the revised textbook of 2009.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vised editions of 2009 and revised editions of 2015, there are seven songs , and for the 2015 revision, there are <Monggeumpo Taleong>, <Haeju Arirang>, <Susimga>, <Ssaruml>, <Ukum-susimga>, <Ponggu sori>, <gumdareaggung> were excluded from the <gumdareaggung>, and <Jajin baettaragi> was added.
    In 2009 and 2015, <Monggeumpo Taleong> was recorded the most, followed by <Haeju Arirang> and <Susimga>,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ongs recorded by music.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2009 revision, the proportion of Seodo folks was slightly higher in the revision of 2015, but the share of folks is still smaller compared to other regions folks.
    In the 2009 revision, there was a problem of recording <Monggeumpo Taleong>, bansusimga tori, as a water susimga tori, or There was a problem of recording the score of <gumdareaggung>, which was sampled by the scale of 're-mi-sol-la-si', and describing it as a susimga tori.
    In the revision of 2015, many textbooks showed the musical scale of<Monggeumpo Taleong> as "la-do-re-mi-sol", bansusimga tori, and This problem was secured by recording the score of <gumdareaggung> recorded in the scale of 're-mi-sol-la-do'. However, in some textbooks, there is still some misunderstanding in explaining Tori, which requires improvement.
    In the revision of 2015, a new song titled <Jajin baettaragi> was recorded as a song for the Seodo folk song. <Jajin baettaragi> is a type of <Baechigi sori>, which was called in the west coast region, and suggested that this music should be recorded as a Seodo folk song by the existing research.
    Although it is encouraging to include <Jajin baettaragi> in the revision of 2015, it was found that the musical piece name was not unified by the textbooks,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er and the recorder was not accurately recorded in the recorded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악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