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선 중인 선원의 자살에 관한 법적 고찰 (A Study on Legal Aspects of Suicide of Seafarers on Boar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9.11
33P 미리보기
승선 중인 선원의 자살에 관한 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41권 / 2호 / 193 ~ 225페이지
    · 저자명 : 신동호, 지승현

    초록

    국내에서 2017년 자살자는 12,463명이었고 이 중 54.4%가 근로자였다. 선원자살에 관한 통계는 아니지만, 선원이라는 직업만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근무 환경을 고려해 볼 때 무시할 수 있는 통계는 아니라고 본다.
    승선 중인 선원의 자살에 대해 여러 가지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 그중 사회로부터 떨어져서 상당 기간을 지내야 하는 고립감이 큰 이유일 것으로 생각한다. 육상의 근로자와 달리 순간적 외로움을 느낀 선원은 도움의 손길을 받기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더불어 아직 해운업계에서는 승선 선원의 자살에 대해서 개인의 부족함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많고, 자살 예방에 대한 인식 및 대응시스템도 열악하다.
    그런데, 선원의 자살과 관련한 법률도 미흡함을 알게 되었다. 선원법상 선원의 자살 관련 조항은 선원사망의 원인이 선원의 고의가 아니라면 선박소유자가 해당 선원의 사망에 관한 재해보상을 한다는 조항이 유일하다. 아울러 선원의 자살에 대하여 참고할 수 있는 선원노동위원회의 결정문과 원심 및 대법원 등의 판례도 상당히 제한적이다. 이렇다 보니, 선원의 자살에 대해 법률적 해석이 분분하다.
    이 논문에서는 승선 중인 선원의 자살에 있어 국내 관련 법률들을 살펴보면서 선원법에서 무엇이 미흡한지,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육상근로자의 자살에 관한 국내 판례 및 선원노동위원회의 결정서 등을 검토하면서 승선 중 선원의 자살에 대해서 법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타당한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Korea, 12,463 suicides were reported in 2017 and 54.4% of them were workers. It is not a statistic for suicide of seafarers but the figure can in no way be negligible given the special working environment that only the seafarers have.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for the suicide of seafarers on board. Among them, I think the main reason is a sense of isolation which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way from society. Unlike workers who are on lan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seafarers to be given a helping hand. Furthermore, the shipping industry still tends to dismiss suicide as a lack of individual, and its perception and response to suicide-prevention are also poor.
    By the way, it has been learned there was a lack of laws in respect of the crew’s suicide. The Seafarers’ Act has only one provision in which a shipowner shall compensate for the death of the crew member, unless a seafarer dies from a cause by his/her intention, relating to the crew’s suicide. In addition, decisions of the ‘Seafarer Labor Relations Commission’ and cases by original and supreme courts in connection with the crew’s suicide are quite limited. Therefore, legal interpretation of the crew’s suicide is divergent.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domestic laws for the suicide of a seafarer on board and review what is lacking and how to supplement them in Seafarers’ Act. Furthermore, we will discuss about how to legally approach to suicide of a seafarer on board, reviewing domestic precedents related to the worker’s suicide and decisions written by the ‘Seafarer Labor Relations Com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