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융합학습 제재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Convergence Learn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2.02
15P 미리보기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융합학습 제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2권 / 4호 / 735 ~ 749페이지
    · 저자명 : 조아영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융합학습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표현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융합학습이 적용된 제재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융합된 교과의 종류 및 기능을 분석하였다.
    방법 분석 대상 교과서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5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절차는 첫째, 연구 대상 교과서들 중 표현영역에서 융합학습이 가능한 제재의 학습활동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선정된 학습활동의 융합 관련 교과들과 기능을 표로서제시하였다. 셋째, 각 표로 정리한 분석 교과서의 제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융합 가능 교과들과 기능의 양적 비율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융합학습의 연계 교과 비중이 국어 교과(33.9%)의 가사바꾸기/가사의 의미 알기활동이나 체육 교과(16.3%)의 신체표현하기 활동에 집중되어 있고, 나머지 교과들은 10% 이하의 비율로 적용되어 연계 비율이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연과학 계열 교과인 수학, 과학, 기술가정, 정보 교과의 연계 비중의 총 합은 전체 교과의약 7%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융합학습활동으로 적용된 기능의 빈도수는 가창(52.1%)에서 가장많은 융합학습이 적용되었고 이어 창작(22.1%), 신체표현(15.6%), 기악/표현(매체)(3.6%), 표현(그림)(3%) 순으로 나타나, 융합학습이 가창(52.1%)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기악(3.6%)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의 융합학습이 좀 더 다양한 교과 및 방법으로 폭넓고 깊이있게 적용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중학교 음악교과서에서 제시되는 융합학습이 학습과정에서 음악적 흥미나 창의⋅융합 사고력 등을 포괄할 수 있는지 심도있게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onvergence learning is structur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focusing on the domains of expression. We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curricula that have current learning activities with convergence learning appli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iv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First, we selected the current learning activities that make convergence learning possible in the domains of expression among the chosen textbooks. Second, we presented the curricula and functions that could reflect convergence learning in the domain of expression in tables. Third,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textbooks summarized in the tables and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that showed the quantitative ratios of the curricula that enables convergence learning.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convergence learning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s concentrated on changing lyrics/knowing the meaning of lyric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33.9%) or expressing the body in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16.3%), while the rest of the subjects are 10% it was applied at the following ratio, indicating that the linkage ratio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the natural science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technology home, and information subjects, was only about 7% of the total subjects. Second, as for the frequency of functions applied as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singing(52.1%) applied the most convergence learning, followed by creation(22.1%), body expressionon(15.6%), instrumental music/expression (media)(3.6%) and expression(figure)(3%), it was found that convergence learning was concentrated on singing(52.1%) while instrumental music(3.6%) was very poor.
    Conclusions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convergence learning in various methods and to a broader area in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Additionally, we need to carefully consider how the convergence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will encompass the musical interest or creative/convergent thinking moving for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