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亂中日記』 草稿本과 異本 校勘 硏究 (Comparative Analysis about Handwritten Manuscript and Various Editions of Nanjung ilk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09.06
36P 미리보기
『亂中日記』 草稿本과 異本 校勘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0권 / 383 ~ 418페이지
    · 저자명 : 노승석

    초록

    『亂中日記』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7년 동안 초서체 글씨로 작성한 일기이다. 이 내용들은 대부분 전쟁 중의 급박한 상황에서 草書로 필기되었기 때문에 후대에는 여러 가지 해독상의 문제점이 남게 되었다. 『亂中日記』 草稿本에 대한 해독은 1795년[正祖 19]에 처음 이루어져 全書本이 나오게 되었는데, 여기에 상당한 누락과 誤讀이 있게 됨에 따라 판독문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였다. 1935년 조선사편수회가 다시 초고본을 탈초하여 『亂中日記草』가 나오게 되었는데, 전자보다는 상당한 진전이었다. 이 두 차례의 해독작업을 통해 초고본이 正字로 활자화되면서부터 이 두 활자본이 후대의 『亂中日記』 연구자들에게 전범이 되어왔다. 하지만 이를 토대로 해역하는 과정에서 미상․오독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이에 대한 이견과 논란이 생김에 따라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초고본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더욱 요구되었다.
    1960년대 李殷相이 草稿本에 대한 原文校閱과 草稿本에 없는 내용을 全書本내용으로 보충하여 하나로 합본한 『亂中日記』를 만들었으나 草稿本에 대한 면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기존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했다. 필자는 2004년 초고본을 새로 판독하여 국가기록유산사이트에 게시하였고, 2005년 이를 토대로 全書本과 『亂中日記草』를 비교분석하여 『亂中日記』 완역을 시도하였다. 2008년에는 『忠武公遺事』를 해독하였는데, 여기에 들어있는 「日記抄」 내용으로 초고본과 활자본의 문제점을 상당수 해결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草稿本을 중심으로 異本끼리 대조분석한 결과, 교감한 사례는 총 174건인데, 草稿本자체에서 문맥과 문헌을 참고하여 교감한 사례는 91건, 全書本으로 교감한 사례는 29건[중복 7건], 『亂中日記草』로 교감한 사례는 3건, 「日記抄」로 교감한 사례는 58건[補遺 35]이다. 草稿本에 대한 未詳․誤讀문제는 異本내용만으로 해결할 수 없어 전후문맥과 문헌자료로 해결하였다. 全書本은 초고본내용이 요약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많아서 실제 초고본을 교감하는데 별 도움이 못되었다. 다만 전서본으로 교감한 부분은 주로 『亂中日記草』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 잡은 것이다. 『亂中日記草』는 전서본과 달리 草稿本형태를 따라 활자화한 이본으로서 초고본의 문제점은 바로 『亂中日記草』의 문제점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이었다. 이에 『亂中日記草』의 미상오독부분은 초고본에 대한 검토작업으로 상당수 해결할 수 있었다. 「日記抄」에서 을미․병신․무술일기의 새로운 32일치 일기를 포함한 초록 내용은 초고본의 缺損 및 補遺문제를 해결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비록 이본이라고 하기에는 적은 분량이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亂中日記』의 보충적인 자료로서 인정을 받는 계기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NanJung-IlKi is the diary of cursive style letters which was written by admiral Lee Sun-Shin for 7 years. Because that book was written as cursive style letter during the urgent situations of war, most of its contents are difficult to read. Decoding of NanJung-IlKi's manuscript carried out in 1795, and it added to a complete book of admiral Lee, but there was so many faults of omission and wrong decoding. In 1935, JoseonSaPyunSuHoi restudied NanJung-IlKi's manuscript, and made NanJung-IlKiCho, it was better than the former. According to these two decoding procession, NanJung-IlKi's manuscript changed to the correct letter book, these two books became a bible of scholars about NanJung-IlKi.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decoding procession about omission and wrong decoding that made different views and controversy. For basic solution about these, the in-depth study was required more and more.
    In 1960, Lee Eun-Sang made a new NanJung-IlKi, he restudied and included finding contents of NanJung-IlKi's omission parts, but it still had many faults. I restudied NanJung-IlKi in 2004, and noticed it in National Memory Heritage Service, and wrote the complete translation of NanJung-IlKi in 2005, which includes NanJung-IlKiCho and other NanJung-IlKi. In 2008, I wrote the translation of ChungMuGongYuSa, and many problems of NanJung-IlKi are almost solved by helping of the 「IlKiCho」of NanJung-IlKi.
    This paper shows antithesis and analysis of NanJung-IlKi's different versions, 174 points corrected. 91 points are based on NanJung-IlKi's manuscript, 29 points are based on a complete book of admiral Lee(same points: 7), 3 points are based on NanJung-IlKiCho, 58 points are based on 「IlKiCho」[add 35]. For solving many problems in decoding procession about omission and wrong decoding of NanJung-IlKi's manuscript, I conform the meaning from the context and all kinds of NanJung-IlKi. A complete book of admiral Lee is not necessary to correct NanJung-IlKi's manuscript, because of many omissions. However, it was useful to correct NanJung-IlKiCho. NanJung-IlKiCho is printing version following cursive style letters, the problems of NanJung-IlKiCho are very similar to the problems of NanJung-IlKi's manuscript. Because of it, NanJung-IlKiCho's omission and wrong decoding almost solved by a restudy of NanJung-IlKi's manuscript. 「IlKiCho」‘s contents contain 32 days records of UlmiByungShinMuSulIlKi, and it is very important to solve many problems in decoding procession about omission and wrong decoding of NanJung-IlK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