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감정 형용사의 의미 변별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대상으로 - (A study of the meaning of emotional adjectives in Korean and Chinese - For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2.06
25P 미리보기
한⋅중 감정 형용사의 의미 변별 연구 -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93호 / 285 ~ 309페이지
    · 저자명 : 문보라, 김도연, 난춘야

    초록

    감정 형용사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학습자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한국어 교수에 있어서도 학습자에게 감정 형용사를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감정 형용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는 감정 형용사 사용 오류의 원인에 대해 밝히지는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의미에 따라 한국어 감정 형용사를 어떻게 변별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의미 차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원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제 한국어 통용 교육 과정>과 한국어 교재의 어휘에서 감정 형용사를 추출한 후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의미에 차이가 있는 어휘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 감정 형용사 34개에 대해 중국인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와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의미 인식 차이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 형용사의 인식 차이의 가장 큰 원인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감정 형용사의 일부분 어휘가 한자어로서, 한중 한자의 의미 차이로 인해 인식 오류를 가져온다. 둘째, 사전적 의미로 어휘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경우 문맥상에서 그 의미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국어 사전에 제시되어있는 확대된 의미로 인해 감정 형용사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는 상황이 나타났다.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감정 형용사의 이해와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감정형용사의 항목이 적고, 설문 조사에 임한 중ㆍ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수가 한정적이라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밝히지 못했던 감정 형용사의 의미 차이를 어휘별로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앞으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어휘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예문을 제시하고 문맥상에서 그 감정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Emotional adjectives are an abstract concept, making it difficult for learner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them. Furthermore, it can also be difficult to clearly explain emotional adjectives to learners in Korean language teaching. Previous studies not been able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errors that occur while using emotional adjectiv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Chinese learners of Korean discriminate and use Korean emotional adjective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and to reveal the cause of their inability to accurately grasp the differences in meaning. After extracting emotional adjectives from the vocabulary of the <In 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the latest edition of the integrated Korean textbook, words with different meanings were arranged after categorizing them under predetermined criteria. Addition ally, for the 34 emotional adjective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 sis were conducted on the meaning domains of 20 native speakers of Chinese who are Korean teacher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e greatest cause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motional adjectives was the influence of the students’ mother tongue. Part of the vocabulary of the selected emotional adjective includes Chinese characters, which causes a recognition error due to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Second, if the meaning of a word could not be found i n the dictionary, it was then learned and understood based on context. Third, the situation of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motional a djectives due to the expanded meaning presented in the Chinese dictionary appe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and use emotional adjectiv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re are only a few emotional adjectives and the number of middle and advanced Chines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limited.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semantic domain of emotional adjectives by vocabulary, which was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at presenting example sentences can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meaning of vocabulary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o be able to grasp the meaning of the emotion in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