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존명사 ‘줄’의 기능 특화 양상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Bound Noun ‘ju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6.10
30P 미리보기
의존명사 ‘줄’의 기능 특화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주어문 / 34권 / 65 ~ 94페이지
    · 저자명 : 정연주

    초록

    본 연구는 후기 중세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의존명사 ‘줄’의 기능이 어떻게 특화되어 가는지, 그 양상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줄’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 내포 의문절을 만드는 기능, “방도”의 의미, “연유”의 의미로 쓰였다. 이 중 가장 널리 쓰인 기능은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이었다.
    근대국어에서 명사 자리를 형식적으로 채우는 기능을 하던 ‘줄’은 두 가지 변화를 겪는다. 첫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 발화동사, 수신동사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류들과는 점차 공기하지 않게 되는 변화이다. 그 결과 ‘줄’은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명사구 자리에서 쓰이는 요소가 되어 간다. 둘째는 인지동사, 사유동사의 ‘로’ 논항 자리, 즉 사실로 전제되지 않는 내용이 나오는 자리에서 쓰일 수 있게 되는 변화와 사유동사의 ‘를’ 논항 자리, 즉 사실로 전제되는 내용이 나오는 자리에서 쓰일 수 없게 되는 변화이다. 즉 이 시기의 ‘줄’은 ‘비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이전보다 강화되고 ‘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이전보다 약화되는 변화를 겪는다.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던 ‘줄’은 현대국어에 들어서도 두 가지 변화를 겪는다. 첫째는 갈수록 인지동사와 집중적으로 공기하게 되면서 ‘줄’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명사구 자리에서 쓰이는 요소’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해진다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 ‘줄’이 쓰인 사례들을 계량적으로 살펴보면 ‘비사실’의 인지/사유내용, 그 중에서도 ‘반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자리에서 쓰이는 경우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반사실’의 인지/사유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이 오늘날 ‘줄’의 대표적인 기능이 되었다. 이처럼 ‘줄’은 후기 중세국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분포가 축소되고 기능이 특수화되는 과정을 겪어 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how the functions of the bound noun ‘jul’ have specialized from the Late Middle Korean 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Jul’ had four functions in Late Middle Korean: a formal filler for nouns, creating embedded interrogative clause, as a word which signifies “means” and “reason.” The most widely recognized function was the formal filler function.
    ‘Jul,’ which had previously served as a formal filler for nouns, experienced two changes in Early Modern Korean. First, it increasingly stopped its co-occurrence with verbs other than cognitive verbs, thought verbs, speech verbs and decoding verbs. As a result, ‘jul’ has transformed itself into an element used for noun phrases on cognition and thinking. Second, it began to be used at the 3rd argument position of cognitive verbs and thought verbs, that is the argument position marked by ‘ro’ (the content of which are not presupposed as true). And it began not to be used at the same position with the case marker ‘rul’ (the content of which are presupposed as true) in case of thought verbs. In other words, the function of ‘jul’ of signifying the cognition/thinking of “non-factual” strengthened while its function of signifying the cognition/thinking of “factual” weakened.
    ‘Jul,’ which signified cognition/thinking, experienced two different changes in Modern Korean. First, as ‘jul’ increasingly co-occurs with cognitive verbs, its function as “an element used for noun phrases which signifies cognition/thinking” strengthened. Second, a quantitative approach at actual usages of ‘jul’ shows that ‘jul’ is mostly used in positions with the meaning of cognition/thinking of “non-factual,” and specifically, with content that signify cognition/thinking of “counter-factual.” Through such process, signifying cognition/thinking of “counter-factual” became the representative function of ‘jul.’ ‘Jul’ has thus continued to decrease in its distribution and to have its function specialized from the Late Middle Korean to the Modern Kore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주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