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 말기 李泰俊의 自傳的 글쓰기와 그 의미 –「思想의 月夜」에 나타난 수필 각색의 양상과 과도기적 자기 모색 (Lee Tae-jun’s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ts meaning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aspect of essay adaptation and transitional self-searching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4.09
30P 미리보기
일제 말기 李泰俊의 自傳的 글쓰기와 그 의미 –「思想의 月夜」에 나타난 수필 각색의 양상과 과도기적 자기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52권 / 3호 / 339 ~ 368페이지
    · 저자명 : 김용범

    초록

    본고는 소설 「사상의 월야」에 나타난 수필 각색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일제 말기 이태준의 작가의식을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일전쟁의 발발 이후 본격화된 전시체제는 식민지 작가들에게 제국을 위한 글쓰기를 요구했다. 따라서 대다수의 작가들은 신념과 외압 사이에서 요동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는 일제 말기의 소설을 독해하는 데 있어 적잖은 곤란이 되고 있다. 기존의 문학적 경향에서 완연한 대일 협력으로 이행하는 내적 계기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일제 말기 이태준 문학에도 이러한 난관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사상의 월야」에 나타난 수필 각색의 양상에 천착하여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이태준은 자전소설 「사상의 월야」를 창작하며 앞서 집필한 수필을 상당수 차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각색의 과정에서 그는 조선의 ‘전근대성’을 전면화함으로써 주인공 송빈의 ‘계몽’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또한 청년 시절의 문학적 이상을 소거함으로써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을 감추고 있다. 이는 일제 말기 자신의 글쓰기에 ‘업필(業筆)’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어지는데, 이로써 이태준은 기존의 글쓰기와 단절하는 한편 시대가 요구하는 글쓰기를 지속할 방편을 마련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e Tae-jun’s consciousnes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essay adaptation in the novel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colonial writers were compelled to produce works for the empire. Consequently, most writers wavered between their personal beliefs and external pressure, evident in the considerable difficulty experienced in reading novels from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learly explain the internal momentum for the transition from the existing literary trend to complete cooperation with Japan. These difficulties also manifest in Lee Tae-jun’s work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vide insights into these dynamics by studying the essay adaptation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Lee Tae-jun appears to have crafted  his autobiographical novel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by drawing on numerous of his earlier essays. In the process of the adaptation, he legitimizes the “Enlightenment” of Song-bin, the protagonist, by bringing Joseon’s “pre-modernity” to the fore. Additionally, Lee Tae-jun conceals his self-consciousness as an artist by eliminating literary ideals of his youth. This enables Lee Tae-jun to characterize his writing of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riting for living(業筆)”, which allowed him to distance himself from his earlier writings while navigating the demands of his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