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戶口單子와 準戶口의 작성과정 연구 -慶州府의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rawing process of Hogudanja and Junhogu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 Focused on Hogudanja and Junhogu of Gyeongju-bu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1.02
32P 미리보기
조선후기 戶口單子와 準戶口의 작성과정 연구 -慶州府의 호구단자와 준호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8권 / 155 ~ 186페이지
    · 저자명 : 문현주

    초록

    이 연구는 慶州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후기 戶口單子와 準戶口의 작성자와 작성 과정 및 그 변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백성들이 자신의 戶口 내용을 기록하여 제출한 문서가 바로 호구단자이고, 관에 보존하던 호적대장에서 해당 戶의 戶口 사항을 베껴서 발급한 것이 준호구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정의는 조선시대 전 시기를 아울러서 설명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필자는 慶州의 실물 호구문서를 가지고 戶口單子와 準戶口를 작성한 戶首의 着名이나 글씨체 등을 살펴, 準戶口도 戶首 측에서 작성하여 제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조선 전기와 중기에는 ‘戶口單子→戶籍臺帳→準戶口’ 순서로 작성되던 것이 17세기 후반부터 ‘戶口單子→準戶口→戶籍臺帳’의 순서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또 1738년부터는 戶口單子 한 장에 곧바로 周挾改字印을 찍어줌으로써 準戶口를 다시 작성하여 올리는 과정이 없어졌다. 慶州에서는 그 이후로는 準戶口를 발급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準戶口가 가지고 있던 증빙자료로서 역할은 戶口單子가 대신하였다.
    그런데 바로 이 시점을 전후하여 문서의 양식상 戶口單子나 準戶口라고 분류하기 애매한 형태의 문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 올린 戶口單子에 곧바로 도장을 찍어서 돌려주었는데 기본적으로 戶口單子의 형식으로 작성되었으나, 準戶口에 있던 周挾改字印을 찍고 準戶口의 일부 양식을 혼용하였다.
    이로써 戶口單子는 제출하고 準戶口는 발급 받는다는 기존의 정의가 조선시대 전 시기를 포괄하여 설명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I reviewed about draftsmen of hogudanja(戶口單子) and junhogu(準戶口), the process of drawing them up and aspects of transition that occurred on them of Gyeongju-bu in later Joseon. According to pre-research, a hogudanja is a submitted document which was written about the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and a junhogu is a copied and issued document about the informaion of family members from hojeokdaejang(戶籍大帳, Household registers) which was a register written about resident's informaion, in national organization. However, this definition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whole Joseon dynasty's system concerned with hogudanja etc.
    I identified that large number of junhogu were also written and submitted by hosu(戶首, Householder) particularly in Gyeongju-bu. This is based on hosu's signature or one's calligraphic style who wrote those junhogu. The following facts was also estimated : Official documents were written with this procedure like 'hogudanja→hojeokdaejang→junhogu', between early and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However, it has changed as 'hogudanja→ junhogu →hojeokdaejang' from the late of 17c.
    In addition, the process that one rewrite junhogu had removed. But instead, a seal(especially specific shape is '周挾改字印') was affixed directly on the hogudanja from 1738. The change like this had meant that junhogu was not necessary any more as a identification document. Precisely the role that a junhogu had as a identification document was just moved on to hogudanja. As a result, junhogu had never issued in Gyeong-ju since then.
    By the way, closely one upon the other on this period, some documents that cannot be recognized either hogudanja or junhogu were started to show up incidentally. In Gyeong-ju, there were most of hogudanja that had seemed to draw up in usual form. But there also were seals on them, shape is '周挾改字印' which were not ordinary aspect as a form of hogudanja. Those seals had been seen in junhogu for the most part. Furthermore, the unipue expression of junhogu had been written in the first part or end of hogudanja.
    In short, the initial definition that a hogudanja is submitted and a junhogu is a copied and issued document is not enough to explain for the whole Joseon dynasty's system about them.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pre-researches focusing to hogudanja and junhogu should be reappraised thoroughly. Becaus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ach province in later Joseon, the procedure of drawing up those documents might affected the hojeokdaej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