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하(竹下) 김익(金熤)의 유배 체험과 시조의 주제 의식 (Exile Experience of Jukha(竹下) Kim-ik(金熤) and Sijo's theme consciousnes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5.02
32P 미리보기
죽하(竹下) 김익(金熤)의 유배 체험과 시조의 주제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68권 / 453 ~ 484페이지
    · 저자명 : 이승준

    초록

    본고의 목적은 죽하(竹下) 김익(金熤)의 유배 체험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기반으로, 시조의 창작 맥락과 주제 의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8세기 가곡문화사에서 김익은 나름의 위상을 지니는 시조 작가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정작 그의 시조에 대한 작품론적 검토는 적절히 수행되지 못한 상황이다.
    김익의 유배 체험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위해 그가 작성한 관료일기인 『竹下日錄』을 주목하였다. 『竹下日錄』은 김익이 직접 작성한 관료일기이다. 이 일기를 통해 갑산(甲山), 제주(濟州), 강계(江界), 철원(鐵原) 등에 유배당했던 저간의 상황을 소상히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확인한 갑산 유배와 치성 판관으로의 외보, 제주 유배의 선후 관계, 강계 유배의 실상과 철원 유배를 전후하여 능성을 중심으로 사족적 삶을 지향하였던 정황 등은 김익 시조의 창작 맥락을 살필 수 있는 기준이 되었다.
    이를 토대로 김익의 시조를 분석한 결과 먼저 <右酖羅作>과 <右雉城作>은 관료의식과 관계되어 있음을 살폈다. 아울러 관료로서 이념적 태도에 대한 문제의식이 시적 화자의 형상화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右東州作>과 <右能城作>은 능성 지역의 사족으로서 자연을 완상하며 은거의 삶을 지향하였던 정황과 관련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의 기대와 달리 <右東州作>과 <右能城作>의 창작 맥락이 유배 시가의 거시적 구도라 할 수 있는 ‘정치적 좌절’의 차원에서 벗어나 있음을 시사한다.
    이처럼 김익의 시조는 유배 시가의 자장 속에서 창작 주체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에 따른 주제 의식과 미감의 변화를 진단할 수 있는 사례이다. 조선 후기 유배 시조의 비판적 검토를 심화할 수 있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18세기 가곡문화사에서 김익이 지니는 위상과 함께 주목받을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m-ik(金熤)'s work through Kim-ik's exile experience. In the 18th century, Kim-ik was noted as an important sijo writer. However, the text review did not go well.
    In order to understand Kim-ik's exile experience, 『Jukhailrock』 was reviewed. 『Jukhailrock』 is a material that has not been noted in other studi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rasp Kim-ik's exile experience in detail. As a result, a new understanding could be prepared about the reason and timing of Kim-ik's exile.
    Based on this, Kim-ik's sijo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examined that the works related to Jeju Island's exile and Chisung exile were based on the bureaucrat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ideology as a bureaucrat was related to the shape of the poetic speaker.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related to Dongju exile and Neungseong exile was based on the situation of enjoying nature and aiming for Hermit's life as a sadaebu in the Neungseong area. Through this, Kim-ik's sijo argued that it cannot be interpreted only as 'political frustration.
    Kim-ik's sijo can confirm changes in the subject and aesthetic perception of the work according to the artist's perception of reality and response method within the scope of exile siga. Kim-ik's sijo can be said to be a text that can understand the exile sijo of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